정치 대통령실

한중·한일 정상회담 이르면 8월 열린다

G20회의 후 후속조치 논의

北 태도따라 순서 정해질듯

문재인 대통령과 부인 김정숙 여사가 독일 함부르크에서 열린 주요20개국(G20) 정상회의를 성공적으로 마치고 10일 새벽 경기도 성남시 서울공항을 통해 귀국해 마중 나온 인사들과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문재인 대통령과 부인 김정숙 여사가 독일 함부르크에서 열린 주요20개국(G20) 정상회의를 성공적으로 마치고 10일 새벽 경기도 성남시 서울공항을 통해 귀국해 마중 나온 인사들과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독일 순방 중이던 지난 6~7일 중국·일본과의 정상회담을 무난하게 마치면서 후속 회담 일정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번 순방단에 참여했던 복수의 당국자들에 따르면 이르면 오는 8월 중 문 대통령이 중국이나 일본을 들러 후속 정상회담을 여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현재로서는 한중 정상회담이 선행될 가능성에 좀 더 무게가 실린다. 8월24일이 한중수교 25주년이라는 점도 8월 문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간 두 번째 만남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는 요인이다.

관련기사



한중 정상회담의 조기 성사 여부는 북한의 태도변화와 연계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문 대통령은 6일 독일 현지에서 밝힌 베를린 구상에서 북측에 △7월27일부터 남북이 군사분계선에서 군사적 긴장을 높이는 일체의 적대행위 중지 △8월15일 남북 민간공동행사 재개 시 정부 지원 △10월4일 남북 이산가족 상봉 및 성묘 방문행사 개최 등을 제안했다. 이 같은 구상에 북한이 화답한다면 문 대통령으로서도 대북제재나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문제에 좀 더 탄력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된다고 복수의 당국자들은 내다봤다.

만약 북한 문제 등으로 한중 정상 간 합의 성과물을 조기에 내기 어렵다면 한일 정상회담이 선행될 여지도 있다.

일본과는 위안부·독도 등 역사 및 영토 관련 갈등 현안이 있지만 해당 문제가 양국 관계의 발전 자체를 가로막아서는 안 된다는 게 문 대통령의 생각이다. 따라서 역사 문제에 대해서는 양국 간의 인식차이를 서로 이해하는 차원에서 논의를 최소화하고 대신 대북 공조 강화, 양국 간 경제협력 및 문화교류 확대 등을 꾀하는 실리외교 전략으로 접근할 것으로 전망된다.

어느 테이블이 먼저 차려지든 최종 목표는 한반도를 포함한 동북아 지역의 평화 정착과 교류 증진이 될 것이라는 게 청와대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그런 차원에서 한중일 2030년 월드컵 공동개최 이슈가 회담 석상에서 논의될 수 있다. 문 대통령은 앞서 지난달 방한했던 잔니 인판티노 국제축구연맹(FIFA) 회장을 청와대에서 접견한 자리에서 차차기 월드컵의 동북아 공동개최에 대한 의지를 피력했다.

민병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