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남봉현 인천항만공사 사장 "수도권 수출입 관문 인천항, 해양관광 전문항 도약할 것"

크루즈터미널 내년 개장 이어

골든하버 사업도 하반기 착수

항만·도시 조화 이룬 명소로

남봉현 인천항만공사 사장


“인천항을 명실상부한 수도권의 ‘해양관광 전문항’으로 만들겠습니다.” 남봉현(사진) 인천항만공사 사장은 11일 공사 창립 12주년을 맞아 서울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하며 “올해 첫 삽을 뜬 크루즈 전용 터미널이 내년 말 개장되고, 2019년 6월 신국제여객터미널이 문을 열면 해양 관광 인프라가 제대로 갖춰져 세계와 통하는 수도권의 출입문 역할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인천항 신국제여객터미널은 22만5,000톤급 크루즈 전용 1선석, 크루즈 15만톤급 1선석, 카페리 7선석(5만톤급 1선석, 3만톤급 6선석)으로 건설된다. 1단계는 완료됐고 현재 2단계가 진행 중이며 공정률은 91%다.


그는 또인천항의 미래 비전과 관련 “대한민국의 ‘수도권 수출입관문항’ 역할에 충실해야 한다”며 “아울러 홍콩, 싱가포르와 같이 항만과 도시가 조화를 이루는 국제적인 명소로 개발하기 위해 골든하버 사업을 올해 하반기부터 본격화 해 많은 국내외 관광객이 인천을 찾도록 하겠다”고 소개했다.

골든 하버는 송도국제도시 9공구에 2019년 하반기 개장하는 새 국제여객터미널의 배후부지로 23만㎡ 규모다. 크루즈나 카페리를 타고 인천을 찾은 국내외 관광객들이 쇼핑, 레저, 휴양을 한 곳에서 즐길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복합관광단지로 조성된다.


남 사장은 최근 골든하버 프로젝트에 관심을 보이는 홍콩과 싱가포르의 4개 기업을 직접 방문해 개발구상과 투자가치를 설명하기도 했다. 골든 하버 프로젝트는 올해 안에 투자자 모집을 위한 제안서를 공모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남 사장은 이어 “인천항의 컨테이너 처리량 증가 추세로 볼 때 올해 처음으로 세계 50위권 컨테이너 항만 진입이 확실시된다”고 밝혔다. 올해 연간 컨테이너 처리량 300만TEU(1TEU는 20피트짜리 컨테이너 1대분)를 목표로 하는 인천항은 지난해 268만TEU를 처리해 세계 57위를 기록했다.

남 사장은 “2020년까지 컨테이너 물동량 350만TEU, 여객 250만명 달성을 목표로 각종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인천항만공사는 인천항의 개발을 견인함과 동시에 공적 주체로서의 역할 수행에도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남 사장은 “공사는 친환경 항만조성을 위해 지난 2월 말 인천시·한국전력·한국남동발전과 ‘항만 대기질 개선을 위한 육상전원 공급시설(AMP)사업 업무협약’을 체결했고, 지난 6월 말에는 부산·울산·여수광양항만공사와 협업체제를 구축해 육상전원 공급시설 설치 확대와 이용 활성화를 추진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인천=장현일기자 hichang@sedaily.com

장현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