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종목·투자전략

[오늘의 종목]한전, 2·4분기 영업익 예상보다 60% 떨어질 듯

한국전력(015760)의 2·4분기 실적이 각종 비용 때문에 예상보다 저조할 것이라는 증권가의 분석이 나왔다.

이민재 흥국증권 연구원은 12일 한전의 2·4분기 연결 실적은 영업이익 8,483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보다 68.6% 떨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강승균 한국투자증권 연구원도 영업이익이 9.305억 원에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1조 3,788억 원을 예상했던 시장 컨센서스와 차이가 크다.


이 연구원은 목표주가 4만 6,000원과 유지의견을 강 연구원은 5만 4,000원과 매수 의견을 냈다.

실적 부진의 가장 큰 이유는 연료비 등 각종 비용이 오른 탓이다. 이 연구원은 연료비와 전력 구입비가 1년 만에 16.5% 오른 5조 8,000억 원, 감가상각비는 25.7% 상승한 2조 9,000억 원이 될 것으로 추정했다. 새 정부의 원전과 석탄화력 발전을 억제하는 새 정부의 정책도 영향이 있다. 정부는 석탄발전 계획예방정비를 실시했고 노후 석탄발전기 8기를 6월 가동 중단했다. 이 연구원에 따르면 그 결과 전년 대비 석탄가격, 발전용 액화천연가스(LNG), 한전의 전기매입단가(SMP)는 각각 53.5%, 22.7% 5% 상승했지만 원자력과 석탄발전 비중은 74%에서 71.1%로 줄었다.


별도 실적도 부진해 올해 배당금에 대한 기대를 낮춰야 한다고 이 연구원은 조언했다. 그는 별도기준 영업 실적이 적자로 전환해 3,939억 원이 될 것이라고 봤다.

관련기사



강 연구원은 7월부터 석탄과 원전발전량이 늘어나 다소 개선될 것으로 봤다. 한 달간 일시가동 중단했던 노후 석탄발전은 7월 1일부터 다시 가동 중이다. 원전인 한울 6호기, 월성 3호기, 한빛 6호기, 신고리 1호기가 순차적으로 계획예방정비를 마치고 가동을 시작한다. 그 결과 3·4분기에는 원전, 석탄발전 이용률이 각각 82%, 87%로 회복되리라는 게 강 연구원의 견해다.

앞으로 투자심리는 탈 원전 이슈와 산업용 전기요금 체계 개편 이슈로 오락가락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9월 말까지 신고리 5,6호기 건설 중단 여부를 최종 확정한다. 중단될 경우 발주처인 한국수력원자력(100% 자회사)이 감당할 비용 문제가 불거질 전망이다.

반면 산업용 전기요금체계 개편 가능성은 한전의 수익성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문재인 대통령은 후보 시절부터 산업용 전력 과소비 방지를 위한 산업용 전기 요금 개편을 주장해 왔다.

임세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