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머스크 “하이퍼루프, 美정부 구두승인받았다”

워싱턴DC-뉴욕 29분만에 주파

실제 착공까지는 시간걸릴 듯

일런 머스크(왼쪽)테슬라 최고경영자./AFP연합뉴스일런 머스크(왼쪽)테슬라 최고경영자./AFP연합뉴스


비행기보다 빠른 초고속 진공열차인 ‘하이퍼루프(Hyperloop)’ 시대가 성큼 다가서고 있다.

전기차 업체 테슬라의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는 20일(현지시간) “워싱턴DC와 뉴욕을 29분 만에 주파하는 하이퍼루프에 대해 (정부의) 첫 구두승인을 받았다”고 밝혔다. 머스크는 이날 트위터를 통해 “워싱턴DC와 뉴욕을 잇는 새로운 초고속 운송 네트워크는 필라델피아와 볼티모어에도 정차할 것”이라며 “각 도시에는 최대 12개의 (지하승강장과 연결되는) 엘리베이터 출입구가 설치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이퍼루프는 열차처럼 생겼지만 실제 작동 방식은 진공 튜브 속의 자기장으로 추진력을 얻는 신개념 이동수단이다. 비행기보다 빠른 시속 1,200㎞가 넘는 속도로 서울과 부산 사이를 15분 이내에 주파할 수 있다. 바닥으로 공기를 분사해 마찰력을 줄이며 필요한 전력은 튜브의 외벽을 감싼 태양광 패널로 얻는다. 지난 2013년 머스크가 처음으로 공개한 뒤 지난해 네바다주에서 첫 시험주행에 성공했다.

관련기사



하이퍼루프 사업을 추진해온 업체 관계자들은 “하이퍼루프는 기술의 문제가 아니라 규제의 문제”라며 정부의 승인이 최대 관건임을 강조해왔다. CNN에 따르면 지하터널 시공은 머스크가 올해 초 창업한 터널 시공업체인 보링컴퍼니가 맡을 가능성이 크다.

하지만 하이퍼루프 구상의 진전에도 불구하고 전문가들의 반응은 일단 회의적이다. 일단 이번 승인은 구두상으로 이뤄진 것이기 때문에 실제 착공까지는 주 정부와 지역 기관의 까다로운 승인절차를 밟아야 한다. 천문학적인 건설자금도 문제다. CNN은 “하이퍼루프 자체보다 터널 굴착 사업이 더 힘들 수도 있다”며 “보링컴퍼니는 아직 머스크의 목표를 충족할 만큼의 기술 진전을 이루지는 못했다”고 지적했다.

뉴욕타임스(NYT)는 “머스크의 트윗은 충분히 유혹적이긴 하지만 즉시 많은 의문과 회의론을 불러일으킨다”며 “누가 돈을 지불하고, 건설에 얼마나 걸리는지, 어떻게 지을 것인지에 대해서는 답이 없다”고 지적했다.

김희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