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그리스·터키 근해 규모 6.7 강진…“2명 사망·수 백명 부상”

21일 그리스 코스 섬에서 강진의 영향으로 건물들이 부서진 가운데 시민들이 밖으로 대피해 있다./코스=AFP연합뉴스21일 그리스 코스 섬에서 강진의 영향으로 건물들이 부서진 가운데 시민들이 밖으로 대피해 있다./코스=AFP연합뉴스




그리스 남동부 도데카니소스 제도의 코스 섬과 터키 남서부 물라 주(州) 해안의 보드룸 사이 근해에서 21일(현지시간) 규모 6.7의 강진이 발생해 2명이 사망하고, 수 백 명이 다쳤다.


유럽지중해지진센터(EMSC)는 이날 오전 1시31분께 터키 남서부 물라 주 마르마리스 근해에서 규모 6.7의 강진이 발생했다고 발표했다.

진앙은 인구 250만명이 사는 터키 이즈미르에서 남쪽으로 164㎞, 인구 3만9,000명이 거주하는 보드룸에서 10㎞ 떨어진 곳에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그리스 코스 섬에서는 동북쪽으로 16km 떨어진 지점이다. 진원의 깊이는 10㎞로 비교적 얕은 것으로 측정됐다.

이번 지진으로 코스에서는 2명이 숨지고, 120여 명이 부상했다. 사망자는 스웨덴과 터키에서 온 각각 27세, 39세의 관광객으로 이들은 시내의 오래된 술집 건물이 무너지며 잔해에 맞아 목숨을 잃었다고 그리스 당국은 밝혔다.

당국은 중상자 13명을 인근 크레타 섬과 로도스 섬, 아테네로 긴급 이송됐다. 이들 중 일부는 건물 잔해에 머리를 맞거나 다리가 절단되는 등 부상 정도가 심한 것으로 전해졌다.

코스에서는 구조대가 탐지견과 중장비를 동원해 건물 잔해에 갇힌 사람들이 있는지 확인작업이 진행 중이다.

21일 발생한 강진으로 그리스 남동부 도데카니소스 제도의 코스 섬의 한 성당이 강진의 영향으로 금이 가 있다./코스=AP연합뉴스21일 발생한 강진으로 그리스 남동부 도데카니소스 제도의 코스 섬의 한 성당이 강진의 영향으로 금이 가 있다./코스=AP연합뉴스



그리스 정부에 따르면 지진으로 항구와 세관이 피해를 입어 코스의 여객선 운항이 전면 중단됐으나 지진 피해가 구도심 일부에 국한된 덕분에 공항 운영과 육상 교통 운행은 정상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코스 섬에 위치한 난민센터 역시 별다른 피해를 보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당국은 그러나 섬에 있는 14세기 성이 무너진 것을 비롯해 지은 지 오래된 성당과 이슬람 사원 등 일부 건물이 손상을 입었다고 확인했다.

관련기사



코스 섬은 특히 젊은이들에게 인기 많은 휴양지로 여름 성수기에는 최대 10만명의 관광객이 몰리는 곳이다. 지진이 일어나자 이곳에 체류하던 관광객은 일제히 비명을 지르며 호텔 밖으로 뛰쳐 나오는 등 큰 소동이 빚어졌다. 이들은 불안에 떨며 호텔 밖의 일광욕 침대 등에서 잠을 청했다고 AFP통신 등은 보도했다.

이번 지진으로 터키 남서부의 일부 바닷가, 근처 그리스령 도데카네스 제도 주민들도 심야에 큰 혼란을 겪었다. 터키 당국은 진앙과 가까운 보드룸에서 70명이 경상을 입어 병원에서 치료를 받은 것을 비롯해 이번 지진으로 총 350여명이 다친 것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오스만 구룬 물라 시장은 “전기공급이 일부 차단되고 통신업자들이 전화통화량 급증현상을 겪었다”고 설명했다.

강진에 신속히 대응하는 미국 태평양쓰나미경보센터는 별도로 쓰나미 경보를 발령하지 않았다. 강진 이후 현재까지 최대 규모 4.8의 여진을 포함해 160차례의 여진이 뒤따랐다.

21일 그리스 에게해 도데카네스 제도 코스섬에서 지진의 영향으로 바닷물이 해번도로까지 차오르고 있다./코스=AP연합뉴스21일 그리스 에게해 도데카네스 제도 코스섬에서 지진의 영향으로 바닷물이 해번도로까지 차오르고 있다./코스=AP연합뉴스


터키와 그리스는 아라비아 판과 유라시아 판이 맞물려 지각 활동이 활발한 지역에 있어 잦은 지진에 시달리고 있다. 특히 올해 들어 터키 서부 에게 해 일대에서 강진이 잇따르며 대지진의 전조가 아니냐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지난 달에는 그리스 레스보스 섬에서 규모 6.3의 지진이 발생해 여성 1명이 주택에 매몰돼 숨지고 15명이 다쳤다. 앞서 1999년 8월에는 터키 북서부 지역에 규모 7.0의 강진이 발발해 1만7,000명 이상이 사망했다.

김희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