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22사단 K일병 학우·교수들 "그는 눈빛이 반짝였던 대학생"

한국소설·인디음악 사랑했던 대학생

"절박한 손 잡는 일 그렇게 어려웠나"

군 당국 철저한 진상조사 촉구

홍익대학교 학생회와 교수진이 24일 서울 서대문구 홍익대 캠퍼스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K일병 사망사건의 진상규명을 촉구하고 있다./신다은 기자.홍익대학교 학생회와 교수진이 24일 서울 서대문구 홍익대 캠퍼스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K일병 사망사건의 진상규명을 촉구하고 있다./신다은 기자.


19일 국군수도병원에서 투신자살한 K일병의 모교 학생회가 진상규명을 촉구하는 성명을 냈다.

홍익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문과대학 학생회, 총학생회 학생 20여명은 24일 교문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K일병 사망사건의 진상규명을 촉구하는 성명을 냈다.

학생회 측은 군 당국의 부실조사를 지적하며 △K일병의 자필기록·메모 공개 △가해자 즉각 구속하고 진상조사 착수 △육군제22사단장·대대장·중대장 등 관련 간부 처벌 △고인 순직처리 및 유품 반환을 요구했다.


하소정 홍익대학교 문과대학 부학생회장은 “홍익대 국어국문학과 15학번이었던 K일병은 누구보다 교우관계가 좋았던 학생이었다”며 “그런 학생이 전입한 지 몇 달도 되지 않아 스스로 극단적 선택을 해야 할 원인이 무엇이겠느냐”고 말했다. 이어 “수첩에 적힌 병장 1명과 상병 2명에 대한 조사도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며 “무고한 청년들이 군대 내의 부조리와 가혹행위에 시달려 왔고 쓸쓸하고 참혹하게 죽어갔음을 명심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K군의 지도교수였던 송민호 국어국문학과 교수는 “한국소설과 인디음악을 사랑했던 K는 늘 눈빛을 반짝이며 사람들의 이야기를 듣고, 남에게 미움도 받아본 적 없을 것 같은 아이였다”고 운을 뗐다. 송 교수는 “올해 2월 K를 만나 입대 전 술 한 잔 사 주겠다고 약속하고 헤어졌지만 지킬 수 없게 됐다”며 “한 인간으로서 그가 내민 절박한 손을 잡는 일이 그렇게 어려웠나”고 호소했다. 이어 “과연 앞으로 교수들이 학생들에게 ‘국방의 의무는 신성하고 누구나 수행해야 할 의무이니 안심하고 건강하게 다녀오라’고 말할 수 있겠느냐”고 말했다.

K일병의 15학번 동기들이 K일병에게 보내는 편지를 읽다가 눈물을 흘리고 있다./신다은 기자.K일병의 15학번 동기들이 K일병에게 보내는 편지를 읽다가 눈물을 흘리고 있다./신다은 기자.


K일병의 학과 동기였던 노선영, 오민영씨도 K일병과의 추억을 떠올리며 “K는 전화를 끊을 때면 ‘너를 정말 소중히 생각한다’고 말해주던 친구였다”며 “그에게 언제까지나 후회하고 미안해하고 할 뿐이다. 네가 얼마나 소중한 사람이었는지 알려줄 수만 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홍익대학교 학생회는 학생들이 K일병을 추모할 수 있도록 지난 23일부터 학생회관에 분향소를 설치했으며 오는 26일까지 운영할 방침이다.

신다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