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노후 석탄발전소 가동중단, 미세먼지 농도 감소 "상당한 개선효과"

낡은 석탄화력발전소의 가동 중단으로 지난달 충남 지역의 미세먼지 농도가 1.1% 감소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미세먼지 오염을 줄이기 위해 6월 한 달 동안 충남 4기와 경남 2기, 강원 2기 등 30년 이상 된 노후 석탄화력발전소 8기의 가동을 일시 중단했다.


환경부는 6월 한 달 동안 충남지역 40곳에서 미세먼지(PM2.5) 농도를 측정한 결과, ㎥당 22㎍(마이크로그램, 1㎍=100만분의 1g)으로 2015, 2016년 6월 평균치인 26㎍에 비해 15.4% 감소했다고 25일 발표했다.

하지만 미세먼지 감소분 중 석탄화력발전소 가동중단에 따른 효과만 따지면 0.3㎍/㎥ (1.1%) 에 머문 것으로 평가됐다. 올해 6월에는 풍향 등 기상 여건이 유리해 외부에서 유입되는 오염물질의 양이 예년보다 줄어든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번 분석 결과에 대해 환경부는 “당초 노후 화력발전소의 가동을 중단해도 미세먼지 감축 효과는 1~2%에 그칠 것으로 예상한 바 있어 이번 측정 결과가 ‘합리적인 수준’”이라는 입장을 보였다.

환경부 홍동곤 대기환경정책과장은 “전국 미세먼지 배출량의 15%를 석탄화력발전소가 차지하고, 가동 중단한 노후 화력발전소는 석탄화력발전소의 10.6%를 차지하기 때문에 실제 이번에 충남 지역 전체에서 측정된 평균 오염도는 예상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전했다. 홍 과장은 “석탄화력발전소가 충남 서쪽 끝인 보령에 위치해 화력발전소의 영향을 직접 받는 경기 남부 등지에서는 개선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날 수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보령 화력에서 30㎞ 떨어진 곳에서 미세먼지 오염도를 측정한 결과, 한 달 전체로는 평균 0.8㎍/㎥(3.3%)의 개선 효과가 나타났다.

관련기사



또 일평균 최대치는 39.6㎍에서 36.2㎍으로 3.4㎍(8.6%) 개선됐고, 시간 평균 최대치는 67.5㎍에서 58㎍으로 9.5㎍(14.1%) 개선된 것으로 알려졌다.

국립환경과학원 김정수 기후대기연구부장은 “이번 조사를 통해 단기간 오염이 심한 시기에 화력발전소가 가동을 중단할 경우 인근 지역을 중심으로 상당한 개선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말했다.

환경부는 6월 한달 동안 전국 8기의 노후 석탄화력발전소의 가동 중단으로 미세먼지(PM2.5) 배출량은 모두 304t 줄어 든 것으로 측정됐다. 이는 지난해 6월 전체 석탄발전소(53기)의 미세먼지 배출량인 1975t의 약 15%에 해당하는 양. 남 지역에 위치한 4기의 가동 중단을 통해서는 141t의 미세먼지 배출이 줄어든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환경부는 내년에도 노후 석탄화력발전소의 일시 가동이 예정돼 있고, 2022년까지 노후 석탄화력 10곳을 단계적으로 폐쇄할 예정인 만큼 석탄화력발전소 가동 중지 효과를 지속적인 모니터링할 예정이다.

한편 환경운동연합은 이날 논평을 통해 “노후 석탄화력발전소 가동으로 미세먼지가 일부 개선됐지만 대규모 석탄발전소가 추가 가동되면서 이같은 효과가 사라질 우려가 크다”고 말했다.

환경운동연합은 “지난해 6월 이후 충남의 당진화력 9·10호기, 태안화력 9·10호기, 신보령 1호기 등 총 10기가 새로 가동됐고, 신보령 2호기 등 2기가 준공을 올해 앞두고 있다”며 “더 심각한 것은 9기의 신규 석탄발전소가 건설 또는 인허가 단계에 있어 미세먼지 배출량은 크게 늘어날 것”이라 언급했다.

장주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