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셀트리온 사상 최대, 2분기 영업이익 전년대비 80%↑

셀트리온이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이 전년보다 80% 가까이 늘어나는 등 사상 최대 실적을 보였다.

셀트리온은 올해 2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지난해 같은기간 대비 79.4% 증가한 1383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26일 밝혔다.


같은기간 매출액은 33.0% 증가한 2461억원, 당기순이익은 93.4% 증가한 1152억원으로 확인됐다. 영업이익률은 56.2%을 보였다.

이는 2002년 셀트리온 창사 이래 최대 실적으로 알려졌다.

상반기 전체로는 매출액 4427억원, 영업이익 227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50.8%, 118.8% 늘었다.

셀트리온이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한 것은 세계 최초로 유럽의약품청(EMA)과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허가를 받아 판매를 시작한 항체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 ‘램시마’의 판매가 늘어난 데 따른 것으로 알려졌다.


램시마는 글로벌 제약사 얀센의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레미케이드’ 바이오시밀러.

관련기사



글로벌 제약 시장 조사기관 IMS헬스에 따르면 램시마의 올해 1분기 기준 유럽 시장 점유율은 오리지널 의약품 시장의 42%를 점유 중이다.

또 화이자를 통해 미국에서 지난해 말부터 본격 판매를 시작한 램시마(미국 판매명 인플렉트라)의 처방액도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

올 2분기 합산 처방금액은 2135만 달러로 1분기 처방 금액 671만 달러 대비 218% 늘어났다. 그동안 전 세계에서 장기간 축적된 실제 처방 데이터와 스위칭 데이터, 경쟁제품 중 유일하게 보유하고 있는 염증성장질환 임상 데이터 등을 바탕으로 유럽에서와 마찬가지로 미국 시장에서도 시장 점유율을 급속히 늘려가고 있는 상황.

후속제품 트룩시마는 올해 2월 EMA의 허가를 획득고 영국, 독일, 스페인, 네덜란드, 이태리, 아일랜드 등 국가별 순차적으로 본격적인 판매가 개시되면서 매출액 증가에 기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수익성 측면에서도 제조공정에서의 수율개선을 통해 원가경쟁력을 더 한층 강화시켰고 트룩시마 매출까지 추가되면서 회사 전체 규모의 경제 효과도 지속 확대되고 있기 때문에 현재의 수익성을 유지하면서 경쟁사를 압도한다는 방침이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상반기 실적을 통해 볼 수 있듯이 올해 초 회사가 제시한 연간 사업계획 목표를 충분히 달성해 낼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며 “경쟁 제품이 출시되더라도 내부적으로 어떠한 가격경쟁 상황에도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충분한 원가경쟁력을 확보한 상태”라고 밝혔다.

장주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