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한은, 고령화로 10년 후 가계저축률 ‘마이너스’ 집 팔아서 소비할 것

한은, 고령화로 10년 후 가계저축률 ‘마이너스’ 집 팔아서 소비할 것

■한국은행 경제연구

75세 이상 고령층 자산처분 빨라질 것

고령화로 안전자산 선호현상 보일 전망

사진=연합뉴스사진=연합뉴스


우리나라의 고령화가 빨라지며 10년 후에는 가계의 저축률이 마이너스를 보일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은행은 2일 김정운 금융시장국 시장정보반장과 조세형·이용민 과장이 연구한 ‘인구고령화가 가계의 자산 및 부채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는 ”고령화 진전은 가계의 저축률 하락과 안전자산 비중 증대 등으로 이어져 금융시장의 구조적 변화를 초래할 가능성이 크다“며 ”고령화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철저한 대비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고령화 수준(전체 인구에서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2015년 12.8%에서 2030년 24.5%로 상승하면 가계저축률은 8.9%~ -3.6%로 감소한다고 전망했다. 가계저축률이 마이너스에 진입하는 시점은 2026년께다. 가계저축률은 가계가 저축하는 돈을 처분가능소득으로 나눈 값이다. 생애주기별로 개인 소득 수준을 보면 청·장년기에는 높은 수준을 유지하지만 은퇴 후에는 큰 폭으로 떨어진다. 반면 소비는 의료비 지출 등으로 크게 감소하지 않아 저축할 여유가 줄어드는 것이다. 가계저축률이 마이너스가 되면 집 등 부동산이나 금융자산을 처분해 소비하는 가계가 훨씬 많아진다는 의미다.


고령화를 미리 겪고 있는 일본에서도 고령 비율이 1994년 13.9%에서 2014년 25.7%로 높아졌을 때 가계저축률은 11.6%에서 -0.5%로 하락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들의 1980~2015년 거시경제 자료를 분석한 결과, 고령화 수준이 1% 포인트 상승하면 가계 저축률은 1.076% 포인트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베이비붐 세대가 고도성장기를 겪으면서 이전 세대보다 많은 자산을 축적한 것으로 나타났다. 베이비붐 세대의 평균 자산은 다른 세대보다 약 5,000만원 가량 많았다.

관련기사



향후 가계가 소비를 하기 위해 자산을 급격하게 처분할 가능성은 낮다고 보고서는 진단했다. 보고서는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 출생자)가 은퇴해 고령층에 진입하더라도 부동산 등 실물자산을 급격하게 처분하지는 않을 것”이라며 “다만 가계가 실물자산을 완만하게 줄이면서 금융시장이 받을 부정적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분석했다.

다만 75세 이상 고령층은 앞으로 실물자산 처분이 빨라질 수 있다고 판단했다. 이에 따라 “역모기지론(주택을 담보로 사망할 때까지 연금을 지급하는 상품) 등 실물자산 유동화 시장을 발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고령화로 가계 안전자산 선호가 강해진다는 분석도 내놨다. 가계계의 금융자산에서 채권, 펀드 등 위험자산 보유비중이 2015년 19.4%에서 2030년 13.2%로 낮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안전자산은 현금 및 예금 비중이 같은 기간 43.1%에서 51.6%로 상승하고 보험 및 연금 비중도 31.1%에서 35.2% 높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김 반장은 ”고령화로 안전자산 선호도가 증가함에 따라 장기채권시장 육성하고 중위험·중수익 금융상품 개발 등 보험 및 연금시장이 성장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구경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