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세포 한 개도 콕 집어내는 초정밀 조립로봇 나왔다

美 노스캐롤라이나주립대와 듀크대 등 연구진 ‘사이언스 어드밴스’에 발표

세포 하나를 콕 집어 섬세한 작업을 하는 로봇이 개발됐다. 한 변의 길이가 10㎛(마이크로미터·1㎛=100만 분의 1m)인 큐브(정육면체) 입자를 다양한 형태로 조립하는 방식이다.

노스캐롤라이나주립대와 듀크대 등 미국 연구진은 지난 5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스’(Science Advances)에 초정밀 로봇 개발 소식을 밝혔다. 연구진은 고분자 큐브 입자의 한쪽 면에만 마이크로 크기의 자석을 삽입하는 방식으로 큐브 입자들이 자석 면을 따라 스스로 조립되도록 유도했다. 조립된 로봇은 외부 자기장에 반응, 스스로 구조를 변형했다. 큐브 입자의 배열 형태나 개수에 따라 기능도 다양해진다.


연구진은 큐브 입자를 원하는 방식으로 배열해 입을 여닫는 속도를 0.5초 수준에서 조종할 수 있다는 사실을 광학현미경으로 확인했다고 덧붙였다. 이 로봇 조립체로 살아있는 세포를 포획, 운반하는 데도 성공했다. 여러 세포가 섞여 있을 때 특정 유형의 세포만 선택적으로 분리해 낼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한 것이다.

관련기사



논문의 1저자인 한구희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립대 연구원(박사과정생)은 “이번 연구는 용액 속에 분산돼있는 입자들간 상호 작용의 방향성을 제어해 원하는 형태의 조립체를 만들고 그 구조를 변경하는 데서 착안했다”며 “이 원리는 입자 및 외부 자극에 종류에 따라 확장할 수 있으므로, 앞으로 더 다양한 구조 및 기능성을 가진 조립체들이 보고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정민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