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춘란(사진) 교육부 차관은 10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대입수학능력시험(수능) 개편안 기자회견에서 “2021학년도 수능 개편안의 취지는 학생의 진로에 맞는 과목 선택을 보장하는 것”이라며 “(수능 절대평가를 약속한) 문재인 정부 공약의 후퇴는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는 “급격한 수능 개편에 대한 현장의 우려를 반영해 2개의 안을 동시에 제시했다”고 했다. 다음은 일문입답.
Q. 수학 시험을 현행처럼 문·이과 분리 실시하는 것으로 돼 있다. 문·이과 통합이라는 교육과정 개편 취지를 사실상 포기하는 것 아닌가.
A. 이 부분에 대해 고민을 많이 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취지는 학생의 진로에 맞게 선택 사항을 넓히는 것이다. 문·이과 통합이라는 취지상 수학을 하나로 통합하는 안이 좋지 않으냐는 의견이 있었다. 하지만 진로에 따라서 학습 요구량이 달라질 수 있다고 본다. 수학을 통합하면 인문·사회계열 학생들에게 수학에 대한 부담을 준다는 지적을 반영했다.
Q. 1안(일부 절대평가)을 적용한 후 향후 절대평가 적용과목을 더 확대할 수 있나.
A.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국가교육회의가 오는 9월 이후 구성돼 결정할 내용이다.
Q. 시험 과목은 현행과 같은 7개 과목으로 돼 있다. 하지만 통합사회·통합과학은 사실상 2과목 아닌가.
A. 문항 수나 배점 등을 고려해야 한다. 2015 개정교육과정 핵심이 인문기초소양을 갖추는 것인 만큼 이를 출제범위에 포함시키는 것이 맞다고 봤다. 출제 수준도 고1 수준으로 제한되고 절대평가에 포함됐기 때문에 큰 부담은 없다고 판단했다. 학습부담에 대한 판단은 문항 수, 배점 등도 고려돼야 한다.
Q. 2개 안을 내놓은 이유는.
A. 그동안 여러 채널로 의견을 수렴했다. 고교 교사는 절대평가를, 대학은 상대평가를 선호하는 입장이 많았다. 전체적으로 현재 상대평가의 무한경쟁 부담에 대해 공감하면서도 절대평가 범위에 대한 우려가 있었다. 사회적 합의를 위해 1안과 2안을 제시한 것이다.
Q. 제2외국어를 없애고 1학년 공통과목만으로 전 과목을 절대평가 하는 안도 있었다. 그 방안은 왜 빠졌나.
A. 공통과목은 1학년 때만 이수한다. 공통과목만 시험을 보게 되면 2·3학년 수업이 왜곡되고 수능 시기를 앞당겨야 한다는 우려도 있었다. 이런 부분을 반영해 배제했다.
Q. 이낙연 국무총리는 절대평가에 부정적으로 발언했다. 이미 1안(일부 절대평가)으로 정해진 것 아닌가.
A. 총리의 발언은 학생·학부모의 우려를 반영해 좀 더 안정적으로 가져가야 취지로 안다. 절대평가를 도입하지 말라는 뜻은 아니었다.
Q. 1안이 채택되면 문재인 대통령의 공약이 후퇴하는 것 아닌가.
A. 후퇴한 것이 아니다. 현장에서도 절대평가로 가는 방향에 대해서는 원론적으로 동의하지만 방법론의 차이가 있어 전 과목 도입과 일부 과목 도입 두 안을 내놓은 것이다. 다른 공약인 고교학점제와 충돌되지 않게 개념을 정리하고 있는 단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