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정부 "사태 면밀히 파악…피해 확산땐 대책 마련"

정부도 중국 현대자동차의 상황이 생각보다 심각하다고 보고 사태를 면밀히 파악해 우리 부품업체로까지 피해가 확산할 경우 관련 대책을 내놓겠다고 밝혔다.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추가 배치 등으로 한중 관계가 악화 일로를 걷고 있는 상황이라 현대차의 공장 가동 문제가 더 큰 사태로 번지는 것을 막겠다는 게 정부의 방침이다.


산업통상자원부의 한 관계자는 29일 “대금지급이 지연됐던 문제가 부품사의 부품 공급 중단으로 이어지고 다시 공장 가동 중단 사태로까지 이어진 경위를 면밀히 파악하고 있다”며 “이로 인한 생산 차질과 우리 부품기업에 대한 영향 등도 따져보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산업부는 우선 베이징현대의 대금지급 권한이 현대차가 아닌 중국 합작사인 베이징자동차에 있다고 설명했다. 때문에 베이징자동차에서 대금지급을 거부한 이유를 알아야 사태의 원인도 파악할 수 있다는 것이다. 산업부는 이에 따라 현대차 등을 통해 정확한 경위를 파악하고 있다. 산업부는 외국계 부품업체의 베이징현대차 의존도가 높은 만큼 그럴 가능성은 낮다고 밝혔지만 사드 추가배치로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현대차 판매가 다시 고꾸라질 경우 사태가 장기화할 가능성도 있다.

정부는 이로 인해 우리 부품업체로까지 피해가 확산하는 상황까지는 막겠다는 방침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사태가 극단적으로 악화될 가능성은 낮다”면서도 “우리 부품업체로까지 피해가 확산되는 것을 막기 위해 필요한 경우 관련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세종=김상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