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네이버 '총수 없는 기업' 결국 무산

공정위, 준대기업집단 곧 발표

이해진 네이버 창업자이해진 네이버 창업자




이해진 네이버 창업자가 기업집단을 이끄는 동일인(총수)으로 이름을 올린다. 네이버의 이른바 ‘총수 없는 기업’ 지정 시도가 올해는 무산된 것이다. 기업집단의 동일인 지정 심사를 다시 하는 내년 9월 전에 이 창업자가 추가적인 조처를 내놓을 가능성이 한층 높아졌다.


3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네이버는 공정거래위원회가 조만간 발표하는 자산 5조원 이상 공시대상기업집단(준대기업집단) 지정 때 동일인을 이 창업자가 아니라 ‘네이버주식회사’로 등재하는 방안을 사실상 포기했다. 이 창업자가 개인주주로서는 네이버의 최대 지분(4.31%)을 보유한데다 법인 설립 뒤 18년 동안 등기임원 자리를 지켜온 만큼 ‘실질적 지배력’을 갖고 있다는 공정위와 재계 일부의 판단을 일단 받아들인 셈이다. 공정위는 기업집단의 동일인을 정할 때 지분비율 등 계량화한 지표보다는 의사결정 구조의 정점에 누가 있는지를 살핀다는 원칙을 제시했다.

관련기사



이 창업자는 지난 14일 공정위를 방문한 뒤 해외로 출국해 글로벌투자책임자(GIO)로서의 직무를 수행하고 있고 회사도 당분간 총수 없는 기업 지정을 위한 추가 대응이나 입장을 내놓지 않을 예정이다. 네이버 사정에 정통한 정보기술(IT) 업계의 관계자는 “내부적으로 올해는 이 창업자의 총수 지정을 피할 수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전했다.

대신 네이버는 공정위가 매년 새로 동일인 지정 심사를 하는 만큼 내년에 법인을 동일인으로 지정받는 것에 역량을 집중하기로 했다. 이미 이사회 의장 자리를 내놓고 일부 지분(0.33%)도 매각한 이 창업자에게는 보유주식 추가 매각 또는 등기임원 연임 포기 등 강도 높은 방안만이 남은 상황이다.

지민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