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경기 회복세지만…가계빚·건설경기·무역갈등 리스크 많다"

현대경제硏 "불안한 경제성장…질적 개선 더뎌"

수출 호조·소비 회복 희망적이지만 걸림돌 산재

가계빚·건설경기 급랭·미중과의 무역갈등 가능성

/자료=현대경제연구원/자료=현대경제연구원


국내 경기가 소비 회복에 힘입어 개선 흐름을 이어가고 있지만 본격적인 경기 확장 국면에 올라탈지는 확신하기 어렵다는 진단이 나왔다. ‘가계빚 폭탄’에 건설 경기 급랭 가능성, 미·중과의 무역갈등 리스크 등 걸림돌이 많다는 분석이다.

3일 현대경제연구원은 ‘경기 회복 강화를 가로막는 5대 리스크 요인’ 보고서를 통해 국내 경기에 대한 최근 동향 분석과 향후 전망을 내놨다. 보고서는 “수출이 호조를 이어가고 내수가 회복 국면에 진입하면서 경기가 개선되고 있다”면서도 “현재 시점에서 본격적 경기 확장을 담보할 수 있는 질적인 개선 여부는 불충분해 보인다”고 지적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우리 경제는 불안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2·4분기 경제성장률은 전기대비 0.6%로 1·4분기(1.1%)의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다. 올 상반기 우리 경제 회복세를 이끌어온 수출이 마이너스(-3%)로 돌아섰고, 건설투자가 6.8%에서 0.3%로 급락하면서 하락세를 이끌었다. 현재 경기상황을 보여주는 동행지수순환변동치도 4월(101포인트) 정점을 찍은 뒤 7월(100.7포인트)까지 하락세다.

긍정적인 측면도 있다. 수출은 하반기에도 호조가 예상된다. 8월 수출은 지난해 11월 이후 10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고, 중국 시장에서도 선전하면서 4대 주력 시장 모두에서 개선 흐름을 보였다. 지지부진했던 소비가 회복 국면에 들어선 점도 희망적이다. 민간소비 증가율은 1·4분기 0.4%에서 2·4분기 1.0%로 뛰었고, 7월 내구재 소비 등 선행지표도 좋아지는 추세다.

그럼에도 경기가 현재의 회복 국면에서 본격적인 확장 국면으로 진입하기엔 다양한 위험 요인이 산재해 있다고 보고서는 평가했다.


1,400조원 가까이 불어난 가계부채의 경착륙 가능성이 첫 번째로 꼽혔다. 보고서는 “가계부채가 이미 소비를 제약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면서 “가계부채 문제가 경착륙될 경우에는 디폴트(채무불이행) 확산으로 소비 기반 자체가 붕괴될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자료=현대경제연구원/자료=현대경제연구원


건설 경기 급랭 가능성도 우려 요인이다. 최근 경제성장률을 끌어올리는 데 크게 기여한 건설투자가 부동산 경기 위축, 공공·토목 수요의 과도한 축소로 급격히 줄어들면 우리 경제 전체에 부정적인 영향을 가져올 수 있다. 이미 건설투자의 선행지표인 건설수주액은 7월 민간·공공 부문에서 일제히 감소했다.

수출도 안심하기 어렵다. 양대 주력시장인 미·중 시장이 각각 보호무역주의와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보복 조치 장기화에 노출된 상황이다. 실제 이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현지시간)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폐기 논의 방침을 밝혔다는 외신 보도가 전해지면서 파문이 일고 있다.

이밖에 최근 체감물가 급등에 따른 실질 구매력 약화 우려, 소비심리 불안, 기업 경제활동 동기 약화 등도 실물경제 확장을 제약할 수 있는 리스크 요인으로 제기됐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경기 회복 속도를 높여 본격적인 경기 확장 국면에 안착시키는 데 주력해야 한다”며 “근시안적 시각으로 올해 경제성장률 목표치에 집착하기보다는 중장기적으로 경기 사이클을 관리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어 “가계부채의 구조조정 기조를 지속하고, 건설투자의 위축이 내수 침체로 이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 일정 수준 이상의 사회간접자본(SOC) 투자를 공급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빈난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