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화웨이, 애플 판매량 넘어섰다…"신제품 부재 영향"

아이폰8 출시 임박…신제품 부재 영향이 커

"유리 천장 애플 아성 깬 경험, 자신감으로 작용할 것"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점유율 현황/출처=카운터포인트 마켓펄스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점유율 현황/출처=카운터포인트 마켓펄스




글로벌 스마트폰 모델별 시장점유율 현황/출처:카운터포인트 마켓펄스글로벌 스마트폰 모델별 시장점유율 현황/출처:카운터포인트 마켓펄스


화웨이가 처음으로 애플 스마트폰 판매량을 넘어서는 등 중국 제조사들의 글로벌 영향력 확장 속도가 심상치 않다.

애플 아이폰8 출시가 임박한 만큼 신제품 부재에 따른 영향이 큰 것으로 보이지만, 유리 천장 같았던 애플의 아성을 깬 경험은 중국 제조사들에 있어 큰 자신감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7일 글로벌 시장조사 기관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지난 6월과 7월 중국 화웨이가 처음으로 애플의 스마트폰 판매량을 넘어섰다고 밝혔다.

카운터포인트는 “화웨이의 이번 성과가 중국을 넘어 글로벌 시장에서도 성공적인 저변 확대를 기록하는 의미”라고 평가했다. 이는 연구개발(R&D)와 제조부문에서 꾸준히 투자한 노력과 공격적 마케팅, 그리고 판매망 확장이 맞물려 이루어 낸 성과로 해석된다.

아이폰의 신제품 출시가 임박한 점을 감안하면 화웨이의 실적을 일시적인 현상으로 볼 수도 있지만, 그동안 화웨이가 보여준 성장의 속도는 결코 간과할 수 없다.


이들의 성공요인은 스마트폰 디자인, 제조 역량, 다양한 기능 뿐 아니라 막대한 자금을 기반으로 판매망 및 협력업체를 통한 홍보, 마케팅에서 한발 앞서는 것으로 분석된다. 화웨이, 오포, 비보, 샤오미 등 주요 중국 브랜드들은 입지는 글로벌 공급망과 유통망 그리고 앱 개발사들에게 있어 삼성이나 애플에 뒤지지 않고 있다.

관련기사



임수정 카운터포인트 연구원은 “중국 업체들은 최근 자사의 브랜드 마케팅에도 매우 신경을 쓰고 있으며, 업체별로 다른 유통·판매 전략을 보이고 있다”며 “샤오미의 경우는 중국을 제외한 시장에서 온라인 판매망 위주의 판매 전략을 보이고 있으며, 오포 및 비보의 경우에는 오프라인 판매망 구축을 통해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현재 중국과, 유럽, 남미, 중동시장에 대한 의존도가 지나치게 높고 남아시아, 인도, 북미 시장에서의 약세는 화웨이가 안정적으로 점유율을 높이기 위해 해결해야 할 과제로 보인다.

제품별 판매량으로는 애플 아이폰7과 아이폰7+가 여전히 베스트셀러 선두의 위치를 지켰다. 오포의 플래그쉽 모델인 R11과 중가 부문의 A57 모델이 각각 3위와 4위에 나란히 오르면서 글로벌 시장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브랜드로 부상한 것이 눈에 띈다..

특히 화웨이가 전체 글로벌 시장 점유율 2위에 오르면서도 화웨이의 제품이 상위 10위에 하나도이름을 올리지 못했다. 이는 화웨이의 포트폴리오의 분산과 독보적인 인기모델이 부재한 것이 주 원인으로 분석된다. 화웨이는 다양한 제품 포트폴리오를 통해 다양한 시장 부문에서 고르게 경쟁할 수 있었지만, 이 점이 전체적인 브랜드 인지도 측면에서는 오히려 약점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이는 화웨이가 향후 지속해서 시장 점유율을 확장하기 위해서는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다.

박진석 카운터포인트 애널리스트는 “9월에는 애플의 신제품 발표가 예정돼 있기 때문에 애플의 글로벌 시장점유율은 8월이후 연말까지 지속적으로 오를 가능성이 높다”며 “다만 이번 화웨이의 글로벌 2위 경험은 화웨이의 경영전략 수립 및 실행에 있어 전환점이 될 수는 있어 보인다. 유리 천장 같았던 애플을 앞질러 본 경험은 자신감과 자긍심을 심어 줄 수 있다”고 전망했다.

권용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