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보수대통합 vs 독자노선…바른정당 혼란 속으로

이혜훈 사퇴로 김무성·유승민 등판설 힘실려

"갈등 중재할 새 인물이 돼야" 제3 인물론도

유승민 바른정당 의원이 7일 오전 국회 본회의장에서 열린 바른정당 교섭단체 대표 연설에 첨석해 의원들과 인사하려고 자리에서 일어나고 있다./사진=연합뉴스유승민 바른정당 의원이 7일 오전 국회 본회의장에서 열린 바른정당 교섭단체 대표 연설에 첨석해 의원들과 인사하려고 자리에서 일어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이혜훈 바른정당 대표가 금품수수 의혹으로 7일 사퇴하면서 바른정당이 추구했던 보수 독자 노선이 흔들리고 있다.

이 전 대표는 당내 대표적 자강론자였다. 보수대통합 움직임이 물밑에서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는 가운데 이 전 대표 사퇴는 바른정당의 진로를 한층 더 복잡하게 했다.


바른정당은 정기국회 대응뿐만 아니라 내년으로 다가온 지방선거를 위해서라도 지도부 공백을 빠른 시일 내 메워야 한다는 입장이다. 즉각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하자는 주장과 대표 권한대행 체제를 거친 다음 조기 전당대회를 열자는 등 현재 여러 논의가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기국회 일정을 고려할 때 비대위 체제 쪽으로 가닥이 잡히는 모양새다.

차기 지도부를 어떻게 구성하는지도 문제지만 누가 다음 대표 자리에 오르는지가 더 중요한 문제다. 바른정당이 지금처럼 독자 노선을 고수할지 아니면 보수대통합 기류에 올라타 정계개편에 나설지 갈릴 수 있기 때문이다. 당이 없어질 수도 있는 문제여서 벌써 당내에서는 자강파와 통합파 사이 치열한 신경전이 벌어지고 있다.


지금으로선 당을 만들 때부터 최대주주였던 김무성·유승민 의원이 차기 리더로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 우세하다. 목에 칼날이 들어온 위기상황인 만큼 뒤에서 보고만 있을 게 아니라 중진 의원이 전면에 나서 혼란을 수습해야 한다는 논리다. 다만 다른 당과 통합에 부정적이었던 유 의원과 달리 김 의원이 대표가 되면 한국당과 통합해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을 가능성이 있다. 문제는 백의종군하겠다는 입장을 계속해 밝혀왔던 만큼 김 의원이 대표에 오를 가능성은 낮다는 점이다. 김 의원은 소속 의원들과 이날 오찬 모임을 마친 후 기자들을 만난 자리에서도 ‘비대위원장을 맡을 의향이 있느냐’는 질문에 “나는 하지 않겠다. 뒤에서 돕는 것이 낫다”고 답했다.

관련기사



지난 대선 후보들이 다시 당 대표에 복귀했다는 점에서 유 의원이 등판할지는 더욱 주목을 받고 있다. 유 의원은 이날 오전 기자들과 만나 향후 당내 행보와 관련해 “그 점은 제가 결정할 문제가 아니라 당의 총의를 통해 결정할 사안”이라며 말을 아꼈다. 일단은 가능성을 열어둔 발언으로 보인다.

국민의당과 정책 연대에 중점을 둬야 한다고 주장하는 의원도 몇몇 있는 상황이어서 차기 대표 선출을 둘러싼 당내 분위기는 더 복잡하게 얽힐 것으로 보인다. 일각에서는 3선인 김용태 의원과 김세연 정책위의장 등 ‘젊은 중진’이 당 전면에 나서 내부 분열을 막아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당 초대 대표였던 정병국 의원은 전날 당사 회의에서 일부 원외위원장이 김무성·유승민에 힘을 실어주자 “그들이 우리의 자산인 것은 다 안다”면서도 “사람이 사라지면 정당이 사라진 게우리 정당사 아니냐. 그런 정당 하지 말자고 나온 게 바른정당”이라며 제3 인물론을 돌려 내비쳤다.

/정지형인턴기자 kingkong93@sedaily.com

정지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