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서울안보대화]“유엔, 더 강력한 제재 담은 결의안 논의 중”

임성남 외교부 차관 “대북 원유공급 중단 포함”

주한미군 부사령관 “전술핵 배치, 동의 안 해”

임성남 외교부 1차관(맨 오른쪽)이 7일 서울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지역 다자안보회의인 서울안보대화(SDD)에서 연설하고 있다. 이날 임 차관과 대니얼 러셀 전 미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 토머스 버거슨 미 7공군사령관과 중국, 일본, 러시아의 민간 안보 전문가들은 북핵 문제 해법을 논의했다./연합뉴스임성남 외교부 1차관(맨 오른쪽)이 7일 서울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지역 다자안보회의인 서울안보대화(SDD)에서 연설하고 있다. 이날 임 차관과 대니얼 러셀 전 미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 토머스 버거슨 미 7공군사령관과 중국, 일본, 러시아의 민간 안보 전문가들은 북핵 문제 해법을 논의했다./연합뉴스




임성남 외교부 차관은 7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이번 북한 핵실험의 엄중함에 걸맞은 더욱 강력한 제재를 담은 새로운 결의안을 채택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임 차관은 이날 서울 중구 조선호텔에서 열린 서울안보대화에 참석해 “북핵 문제는 새로운 단계의 엄중한 상황에 도달하고 있다”며 “유엔 안보리는 현재 대북 원유 공급 중단, 의류 임가공 및 북한 노동자 외국 송출 금지 등을 포함한 새로운 결의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날 ‘북한 핵·미사일 위협과 한반도 안보’를 주제로 한 토론에서는 한반도 전술핵 재배치에 대한 관심도 뜨거웠다.


임 차관은 “최근 점점 더 많은 국민들이 북한 핵 도발에 대해 분개하며 전술핵 재배치를 지지하고 있다”면서도 “한국 정부는 한반도 비핵화라는 원칙을 고수하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특히 “핵무장과 관련된 생각은 전혀 하고 있지 않다”며 “더 중요한 건 압박을 높이고 대북제재를 강화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토마스 버거슨 주한미군 부사령관 또한 “미국이 한국의 전술핵 배치에 대해 전적으로 동의하는 것은 아니다”라면서도 “전략적으로 동맹국을 보호하겠다는 의지는 가지고 있다”고 힘주어 말했다.

한편 자 칭궈 북경대 국제관계학원 교수는 6자회담 참여국 중 북한을 제외한 5개국이 한반도 급변사태에 대비한 ‘컨틴전시 플랜’을 논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자 교수는 “(한반도 급변사태 등) 위기가 발생한 뒤 누가 주체적으로 질서를 재정립할 것인지, 북한 핵무기를 어떻게 확보할지, 북핵 문제가 해결된다면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를 언제 철수시킬 것인지 협의해야 한다”며 “이런 논의를 통해 각국이 자신의 이해를 방어하고 어떤 대안이 있는지 북한에 제안, 설득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효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