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이낙연 "공영방송 논란 국정조사? 국회 합의시 협조할 것"

민주당 내부 문건 관련 야당 공세에 공식 답변

"문건은 민주당 실무자가 작성...당 실무자가 정권 대표하진 않아"

"국정농단의 수혜자? 큰 짐 떠안아 불행"

이낙연 국무총리는 11일 더불어민주당의 공영방송 개혁 내부 문건을 두고 야권이 국정조사를 요구하는 데 대해 “국회에서 합의하면 협조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국회에서 열린 대정부질문에서 이 국무총리는 “정권이 공영방송을 장악하고 길들일 음모를 꾸몄다면 국정조사를 통해 명백히 밝혀야 하는 것 아니냐”는 김성태 자유한국당 의원의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이 총리는 “언론은 장악될 수도 없고, 장악돼서도 안 된다”면서 “오히려 그런 것을 시도한 과거가 있다면 청산이 돼야 한다”고 밝혔다. 앞서 민주당은 KBS·MBC 등 공영방송을 언론 적폐로 규정하고 사장과 이사진 퇴진을 위한 촛불집회 등 시민단체 중심의 범국민적 운동을 추진하자는 내부 문건을 만든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야권은 문재인 정부의 언론 장악 의도를 담은 로드맵이 드러난 것이라며 국정조사 필요성을 제기했다.


이날 김 의원은 “지난달 25일 민주당 워크숍에서 (방송 장악) 시나리오를 완벽히 마련했다”면서 “민주당이 촛불집회의 배후를 조장하고 공작하는 집단이냐”고 따져 물었다. 이에 이 총리는 “민주당 실무자가 작성한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당의 실무자가 정권을 대표한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고 선을 그었다.

관련기사



한편 이날 대정부질문에 참석한 이 총리는 개헌 문제와 관련해 ‘제왕적 대통령 권한을 내려놓는 개헌안을 청와대와 정부가 준비하느냐’는 질문에 “정부는 개헌안을 준비하지 않는다”면서 “국회 개헌특위가 준비하는 것으로 안다. 잘 준비가 돼서 내년 6월 지방선거 때 개헌 투표가 이뤄지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아울러 이 총리는 ‘최순실 국정농단의 가장 큰 수혜자가 아니냐’는 지적에 “최순실 국정농단의 큰 짐을 떠안은 것은 불행이라고 생각한다”면서 “어떻게 수혜자일 수가 있겠느냐”고 반문했다.

하정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