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금한령 6개월]"자취 감춘 유커·싼커…관광손실 年18조"

현대경제硏 보고서

5개월간 333만여명 한국행 포기

“중국 전담 여행사의 90%는 이미 휴업 중이거나 폐업했습니다. 여행 업계 자체만 놓고 보면 이미 전멸 상태입니다. 더 나빠지고 말 것도 없습니다.”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를 두고 중국 정부의 보복 조치가 6개월째에 접어들면서 중국인 관광객의 발길이 끊긴 관광 업계의 피해는 속수무책으로 커지고 있다. 사드 갈등에 따른 우리 관광 산업의 피해 규모가 연 18조원을 넘어설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한 중국 전담 여행사 관계자는 “4월부터 휴업 중”이라며 “상황이 호전될 것이라는 기약조차 없다”고 한숨을 쉬었다.


현대경제연구원은 15일 ‘사드 갈등 장기화에 따른 국내 관광산업 손실규모 추정’ 보고서에서 사드 갈등이 본격화된 올 3월부터 7월까지 5개월간 약 333만명의 중국인 관광객이 한국행을 포기한 것으로 추산했다. 이에 따른 손실액은 65억1,000만달러(약 7조6,000억원)로 이런 추세가 계속된다면 올 한 해 우리나라의 관광 손실액은 18조1,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해 관광 수입의 절반(56%) 수준이다.

관련기사



가장 직접적으로 타격을 입는 분야는 쇼핑 등 도·소매(12조6,000억원), 식음료(2조4,000억원), 숙박(2조1,000억원) 등이다. 하지만 경제 전반에 걸친 부정적 파급효과는 더 크다. 보고서는 중국인 관광객 급감에 따른 직간접적인 생산유발손실액도 34조원에 이른다고 추산했다. 부가가치유발손실액은 지난해 우리나라 국내총생산(GDP)의 0.9% 수준인 15조1,000억원으로 추정됐다.

타격을 받는 일자리도 40만개를 넘어선다. 국내 총 취업자 수의 1.5% 수준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막대한 취업유발손실로 관광 산업은 물론 도소매업, 음식점, 숙박업 종사 인력에 대한 구조조정 압력으로 작용할 가능성도 있다.

더 큰 문제는 현 상황이 나아질 기미가 없다는 데 있다. 한국관광공사 관계자는 “대화 기조를 내세운 새 정부가 들어서면서 중국 내 관광 업계에서도 얼어붙은 한중 관광 교류가 다시 풀릴 것이라는 기대감이 컸지만 최근 북한의 잇단 도발과 사드 추가 배치로 이런 기대도 사라졌다”며 “최근 중국 정부는 현지 여행사들에 대한 모니터링 강화에 나선 상황”이라고 전했다. /빈난새·나윤석기자 binthere@sedaily.com

빈난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