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채이배 “가계부채 1,439조원…전년比 9% 증가”

“제2금융권 대출 급증·부채質 하락-집중관리 필요”

지난 7월 말 기준 가계부채 규모가 총 1,400조 원을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규모나 건수 면에서 제2 금융권 가계대출이 급증하면서 이에 대한 관리가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채이배 국민의당 의원은 18일 한국신용정보원에 등록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7년 7월 말 기준 가계부채 규모가 지난해 같은 기간의 1,315조 원보다 9% 늘어난 1,439조 원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지난 1년간 증가한 가계부채 124조4,000억 원 중 42%에 해당하는 52조5,000억 원은 인터넷 전문은행을 포함한 일반은행에서 발생했고, 새마을연합회(18조7,000억 원), 지역조합농협(15조3,000억 원), 주택금융공사(14조4,000억 원) 순으로 나타났다.


업권별로는 신기술사업전문금융회사의 대출금액 증가 폭이 69%로 가장 컸고, 주택금융공사 등 기타기관이 47%를 기록했다. 이밖에 리스금융사·새마을연합회·산림중앙회·증권사 등의 전년 대비 가계대출 금액이 20% 이상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관련기사



가계대출은 건수는 총 4,831만 3,954건으로 지난해보다 13% 늘어났다. 전체 증가분의 67.3%는 카드사 대출이었다. 카드사의 대출 건수는 2016년 7월 약 506만 건에서 2017년 7월에는 약 873만 건으로 72%나 뛰었다.

채이배 의원은 “대출 건수나, 대출 규모 면에서 제2 금융권의 가계대출이 급증하면서 가계부채의 질이 떨어지고 있다”며 “금융감독당국이 작년 1월부터 제1 금융권에 도입한 여신심사 가이드라인 등 시중은행의 가계대출에 대한 관리를 강화하면서 풍선효과로 카드사를 비롯한 제2 금융권으로 이전된 것”이라고 해석했다. 이어 “특히 제2 금융권은 일반은행보다 대출금리 등이 높아 향후 금리 상승 국면에서 가계부채의 뇌관이 될 수 있어 집중 관리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송주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