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2050년엔 치매 환자 271만명 전망...관리비용 106조, GDP 3.8% 달해

[닻올린 치매 국가책임제]

고령화로 사회적 비용 급증

체계적인 정책 배려도 필요

1915A05 노인치매환자추이


우리나라가 고령화사회로 급격히 접어들면서 치매에 따른 사회적 비용이 급증할 것으로 전망돼 환자와 가족에만 국한된 문제가 아니라 국가적인 재난으로 인식해야 한다는 지적이 높다.

18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국내 65세 이상 노인 인구 중 치매환자는 72만5,000명이다. 지난해 68만5,000명에서 8개월 새 6%가 늘었다. 치매환자 증가율을 앞으로도 가파르게 늘어 오는 2024년 100만명을 넘어선 뒤 2050년에는 271만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치매환자가 증가하면서 사회적 비용도 덩달아 커지고 있다. 의료비와 요양비, 생산성 손실 등 간접비까지 포함한 치매환자 1인당 관리비용은 지난 2015년 기준 2,033만원에 달했다. 이를 전체 치매환자에게 드는 비용으로 환산하면 국내총생산(GDP)의 0.9%가량인 13조2,000억원에 이른다. 2050년에는 이 비용이 1인당 3,900만원으로 늘고 전체 관리 비용은 GDP의 3.8%에 달하는 106조5,000억원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관련기사



치매는 사회적인 문제로까지 확산되고 있다. 연간 실종되는 치매환자 수는 2010년 6,596명에서 2016년 9,869명으로 1.5배 증가했다. 4인 가구로 환산하면 치매환자를 돌보느라 생업에 지장을 받는 것에 나아가 가족을 잃어버리는 아픔까지 겪는 국민이 4만명에 달한다는 얘기다. 노인학대 사례 중 피해자가 치매환자인 경우도 2011년 18.1%에서 2015년 27%로 크게 늘었다. 정경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원은 “치매 문제는 이제 의료적인 접근뿐만 아니라 사회적인 관점에서 국민 삶의 질과 연계해야 한다”며 “치매환자에 대한 지원과 혜택도 중요하지만 환자 본인의 집에서 거주하면서 지속적으로 생활할 수 있는 정책적 배려가 체계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지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