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한국원자력연구원, 소형 원자로 스마트 개도국 수출 세일즈 강화한다

대형원전 건설에 애로 겪는 중동,아프리카,동남아 타깃

이진규 과기정통부 제1차관 "북핵문제 IAEA 대응 촉구"

하재주 한국원자력연구원장이 18일(현지시간) 오스트리아 빈에서 소형 원자로인 스마트(SMART) 세일저를 위한 설명회를 하고 있다. /사진제공=한국원자력연구원하재주 한국원자력연구원장이 18일(현지시간) 오스트리아 빈에서 소형 원자로인 스마트(SMART) 세일저를 위한 설명회를 하고 있다. /사진제공=한국원자력연구원




한국원자력연구원이 소형 원자로 스마트(SMART) 수출에 팔을 걷어붙이고 나섰다.


하재주 한국원자력연구원장은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리는 ‘IAEA(국제원자력기구) 정기 총회(18~22일)’ 부대행사로 ‘스마트 개발(SMART Development)’설명회를 18일(현지시간) 갖고 세일즈에 나섰다.

이 설명회는 스마트를 원자력연구원과 같이 사우디아라비아 현지에서 상용화에 나서고 있는 사우디 원자력신재생에너지원(K.A.CARE)이 주최했다.


이 자리에서는 사우디의 국가 원자력 사업계획을 소개하고 한국과 사우디가 공동 상용화를 위해 추진하는 ‘스마트 파트너십’에 대해 22개국(중동ㆍ아프리카 15개국, 동남아 5개국, 중앙아시아 2개국)을 대상으로 설명했다.

관련기사



그동안 저개발국과 개도국은 원전을 도입하고 싶어도 현재의 대형 원전 중심 공급 체계에서 막대한 건설비용과 오랜 건설기간, 대형 인프라를 감당할 여력이 없어 고심해왔다. 하지만 스마트는 초기 건설비용이 적고 건설기간이 짧으며 안전성도 더욱 향상돼 신규 원전 도입국과 개도국에 적합한 원자로로 평가된다.

사우디는 지난 7월 각료회의에서 ‘국가원자력사업’을 승인하여 국왕 칙령(Royal Decree)으로 발표했다. 한국과 함께 스마트 상용화를 공동 추진해 2기를 자국 내에 건설하고 주변국에 수출한다는 내용이 포함돼 있다.

양국은 SMART PPE(Pre-Project Engineering) 사업을 통해 내년까지 설계와 국제안전기준에 부합하는 예비안전분석보고서(PSAR)를 작성한 뒤 SMART 1, 2호기를 건설할 계획이다. 하 원장은 “한·사우디 합작프로젝트는 개도국 등에게 원자력을 쉽게 도입할 수 있는 옵션을 제공하는 것”이라며 사우디측과 PPE 사업 현황을 점검하고 앞으로 요르단 SMART 건설을 위한 한·사우디·요르단 공동 타당성조사 등을 논의했다

IAEA 정기총회의 한국 수석대표인 이진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1차관은 축사를 통해 “사우디에 건설되는 SMART 1호기를 발판으로 소형원전을 도입하려는 국가들이 쉽게 SMART를 도입하는데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차관은 이어 19일(현지시간) IAEA 본부에서 열린 제61차 IAEA 정기총회에서 168개 회원국 대표들이 모인 가운데 기조연설을 통해 한국의 원전 안전성 강화와 원자력 혁신융합기술개발 추진정책을 소개하고 북핵 문제에 대한 IAEA 차원의 강력 대응을 촉구했다. 이 차관은 “가동원전의 안전성 강화, 원전해체 역량 구축, 사용 후 핵연료 관리에 역점을 두어 추진 중이며, IAEA 중심으로 적극적인 협력을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고광본 선임기자 kbgo@sedaily.com

고광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