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기재부 “美 연준 자산축소, 한국 시장 영향 제한적”(종합)

기재부·한은·금융위 등 거시경제금융회의 개최

미국 연준 자산축소 등 영향 점검

고형권 기재부 1차관 "한국 금리 동반상승 압력 작아"

고형권 기획재정부 1차관이 21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제53차 거시경제금융회의에 참석해 모두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기획재정부고형권 기획재정부 1차관이 21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제53차 거시경제금융회의에 참석해 모두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기획재정부


기획재정부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보유자산 축소로 인해 국내 금리 인상 등 시장 영향은 작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고형권 기재부 1차관은 21일 서울 은행회관에서 열린 제53차 거시경제금융회의에서 “연준의 결정은 시장에서 예상한 수준으로 평가하고 있다”며 “우리 금융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연준 결정 이후 미국 주가 소폭 상승, 국채금리 상승, 원화 등 주요국 통화 약세 등 현상이 나타났으나 예상 범위 안에 있던 수준이라는 얘기다.

앞서 연준은 20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열어 4조5,000억달러 수준인 보유 자산을 다음달 100억달러를 시작으로 단계적으로 줄여나가겠다고 밝혔다. 보유자산 축소는 장기적인 금리 상승 효과가 있다. 다만 기준금리는 지금의 1.00~1.25%에서 동결하기로 했다.


고 차관은 “연준의 보유자산 축소가 미국의 장기 금리 상승 압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이나 월별 자산 축소 규모가 크지 않은 점 등을 감안하면 급격한 금리 상승 가능성은 낮다”며 “국내 금리의 동반 상승 정도도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다만 “미국의 12월 기준금리 추가 인상 가능성도 남아 있어 향후 세계 자금 흐름과 국제금융시장의 움직임을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고 차관은 “경제는 심리의 영향을 받는 만큼 주요 이벤트에 대한 빈틈없는 대응으로 과도한 불안 심리가 발생하지 않도록 사전에 철저히 차단하겠다”며 “연준의 추가 금리 인상 여부나 자산 매입 축소 가능성 등 주요국 통화 정책, 북한에 대한 주요국의 대응과 이로 인한 시장영향을 관계기관이 매일 점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시장 변동성이 확대되는 경우에는 사전에 마련한 대응 계획에 따라 시장 안정 조치를 적기에 추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고 차관은 해외 주요 기관과의 소통을 강화해 한국의 대외 신인도를 높여나가겠다는 의지도 드러냈다. 그는 “방미 중인 문재인 대통령이 월가의 주요 인사 200여명에게 한국 경제의 현황과 경제 정책을 직접 설명한 것도 그런 노력의 일환”이라며 “앞으로도 국제 신용평가사나 해외 투자자와의 정기적인 협의를 통해 한국 경제에 대한 정보를 충분히 전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회의에는 고 차관 외에 김용범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윤면식 한국은행 부총재, 박세춘 금융감독원 부원장, 정규돈 국제금융센터장 등이 참석했다.

서민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