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스포츠

평창 메달, 역대 올림픽 중 가장 무거워…올림픽 메달 어떻게 변해왔나

평창, 한글 모티브로 옆면에 자음·모음 새기고

전통한복 소재 '갑사' 리본에 활용 한국美 담아

1988년 서울올림픽땐 비둘기·태극무늬 디자인

평창동계올림픽 금메달의 앞면(왼쪽), 뒷면. /평창동계올림픽대회 및 동계패럴림픽대회 조직위원회평창동계올림픽 금메달의 앞면(왼쪽), 뒷면. /평창동계올림픽대회 및 동계패럴림픽대회 조직위원회




21일 2018 평창동계올림픽 메달이 공개됐다. 메달 옆면에 한글 자음과 모음을 새기고 전통한복 소재인 갑사를 리본에 활용하는 등 한국적인 아름다움을 담은 것이 특징이다.

1904년 미국 세인트루이스 올림픽부터 종목별 상위 선수들에게 차례로 금·은·동메달을 수여하는 것이 굳어지면서 대회마다 서로 다른 디자인의 메달은 올림픽의 또 하나의 상징이 됐다. 올림픽 메달은 국제올림픽위원회(IOC)이 정한 규정에 맞춰 주최국이 올림픽 정신을 살리면서도 저마다의 특징을 담아 디자인한다. IOC는 올림픽 메달을 보통 원형에 체인이나 리본에 매달려 있는 형태로 제시했다. 지름은 60㎜, 두께는 3㎜ 이상이어야 하고 종목명이 새겨져야 한다. 금메달과 은메달은 순은으로 제작하고 금메달에는 순금 6g 이상을 도금하도록 했다. 하계올림픽의 경우 표준 디자인도 있다. IOC가 1928년부터는 적용한 표준 디자인은 그리스 신화 속 승리의 여신 니케가 로마 콜로세움을 배경으로 월계관을 들어 올린 모습이었다. 1972년 독일 뮌헨올림픽부터는 앞면에는 이러한 표준 디자인을 쓰고, 뒷면에 개최국의 특징을 담은 개성 있는 디자인을 하는 관행이 굳어졌다.

역대 올림픽 메달들. 1972년 삿포로올림픽(위 왼쪽부터), 1988년 서울올림픽, 2010년 벤쿠버올림픽 메달과 2014년 소치올림픽(아래 왼쪽부터), 2016년 리우올림픽, 2018년 평창올림픽 메달. /IOC 홈페이지 캡처=연합뉴스역대 올림픽 메달들. 1972년 삿포로올림픽(위 왼쪽부터), 1988년 서울올림픽, 2010년 벤쿠버올림픽 메달과 2014년 소치올림픽(아래 왼쪽부터), 2016년 리우올림픽, 2018년 평창올림픽 메달. /IOC 홈페이지 캡처=연합뉴스


1988년 서울올림픽의 경우 뒷면에 월계수를 물고 날아가는 비둘기와 태극 무늬를 응용한 서울올림픽의 엠블럼이 들어갔다. 당시 금메달 지름은 60㎜, 두께 7㎜, 무게 152g으로, 이번 평창올림픽의 메달 지름 92.5㎜, 두께 최대 9.42㎜, 무게 586g과 비교하면 훨씬 작고 가벼웠다. 1992년 스페인 바르셀로나올림픽부터는 앞면 디자인에 일부 변형이 허용됐고, 2004년 그리스 아테네올림픽부터는 아예 새로운 표준 디자인이 도입된다.


하계올림픽과 달리 동계 올림픽 메달에는 표준 디자인이 없다. 그렇기에 더욱 개성적인 디자인이 가능하다. 1972년 일본 삿포로 동계올림픽의 메달은 사다리꼴에 가까운 울퉁불퉁한 모양이었고, 1984년 유고슬라비아 사라예보 대회 메달은 둥근 메달이 큰 사각형 틀에 갇힌 형태였으며, 2006년 이탈리아 토리노 대회 메달은 도넛 모양으로 가운데가 뚫려 있었다.

관련기사



이번 평창동계올림픽 메달의 경우 역동적인 사선을 배경으로 앞면에 오륜이, 뒷면엔 대회 엠블럼과 종목명이 들어간 비교적 단순한 디자인이다. 그러나 측면에 새겨진 입체감 있는 한글 자음이 독창성과 세련미를 더했다. 메달 케이스 역시 전통 기와지붕의 곡선을 재해석한 원목으로 제작해 한국적 요소를 살렸다. 무게는 금메달이 586g, 은메달 580g, 동메달 493g으로 역대 동·하계 올림픽 메달을 통틀어 가장 무거운 수준이다. 이전에 가장 무거웠던 메달은 밴쿠버 동계올림픽 메달로, 500∼576g이었으며, 소치올림픽 메달은 531g이었다.

/디지털미디어부

손샛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