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MB블랙리스트 황석영 김미화, 진상조사 신청 '피해자' 제보 온-오프라인 가능

이명박 정부부터 박근혜 정부에 이르기까지 블랙리스트로 인해 피해를 받아 온 것으로 알려진 황석영 작가와 최근 발표된 ‘이명박정부 블랙리스트’, 이른바 ‘MB 블랙리스트’ 명단에 포함된 방송인 김미화 씨가 오는 25일 오전10시 서울 광화문 케이티(KT)빌딩 12층에 있는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진상조사 및 제도개선위원회’(이하 진상조사위원회)에 직접 나와 조사 신청을 하고 지난 경과에 대한 소견을 공개했다.

22일 문화체육관광부에 따르면 황석영 작가는 정부에 비판적 목소리를 꾸준히 제기한 문학계 원로이며, 세월호 참사 문학인 시국선언에 참여한 이후, 집중적으로 감시와 배제를 받아왔음을 알렸다. 김미화 씨는 2010년 이후 방송 출연과 외부행사에 제한을 받아왔으며, 최초 공개된 ‘이명박정부 국정원 블랙리스트’를 통해 실제 배제 대상이었음이 확인된 피해 당사자로 확인됐다.

이번 조사 신청은 외부 공개로 진행하며,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에 대한 입장 발표와 실제 피해 사례 증언이 있을 것으로 전해졌다. 이를 통해 문화예술인들이 진상 조사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 18일 진상조사위원회는 첫 대국민 보고 자리에서 “블랙리스트가 이명박정부 시절인 2008년부터 시작되었다는 것을 당시 국정원의 ‘문화권력 균형화 전략’ 문건을 통해 확인했고, 최근 국정원의 ‘이명박정부 블랙리스트’ 문제가 제기된 만큼, 특정한 시기를 한정하지 않고 조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진상조사위의 온라인제보센터를 통한 관련 제보도 이어지고 있다. 특히 ‘MB 블랙리스트’ 82명 중 52명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진 영화계를 중심으로 이명박 정부 시기에 영화 분야에서 일어났던 배제와 검열 사례들이 접수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진상조사위원회는 피해당사자인 문화예술인들뿐만 아니라 당시의 사건을 진술해 줄 수 있는 관련인의 제보도 적극적으로 받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한편 제보는 온라인 제보센터(www.blacklist-free.kr)를 활용하거나 진상조사위원회 사무실 방문, 우편(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대로 178 KT광화문빌딩 12층, 우편번호 03154) 등을 통해 가능하다.

장주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