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리빌딩 2개월만에 베일벗은 문무일표 범죄정보담당관실

승진 등 통해 6명 사무관 배치

본연 임무 '내사 강화'에 무게

적폐청산 수사에도 힘 보탤듯

문무일 검찰총장의 범죄정보담당관실이 베일을 벗었다.

기존 수사관들을 원소속 검찰청으로 복귀시킨 후 새로운 인물들과 조직으로 구성을 시작한 지 2개월 만이다. 이명박 정부 시절 국정원 정치개입 등 과거 정권의 ‘적폐’에 대한 수사가 한창 속도를 내고 있는 시점인 만큼 앞으로의 역할에 관심이 쏠린다.


22일 법조계에 따르면 법무부는 오는 27일자 5급 이상 공무원 승진·전보 인사를 통해 대검 범죄정보1·2담당관실에 각각 2명, 4명의 사무관을 배치했다. 법무부는 추가로 6·7급 수사관을 새로 배정해 구성을 완료할 방침이다.

관련기사



대검은 “조직개편 작업 중으로 앞으로 어떻게 운영할지에 대해서는 확정되지 않았다”는 입장이지만 검찰 안팎에서는 범죄정보1·2담당관실이 물밑 사전수사를 담당할 것이라는 관측이 힘을 얻고 있다. 그동안 범죄 첩보는 물론 재계·정치권 동향, 검찰 조직 등을 광범위하게 파악하고 보고해 총장의 힘을 과도하게 키웠다는 지적이 있었던 만큼 정치적 중립성은 유지하면서 수사 본연의 의무에 충실하도록 역할이 주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법조계 일각에서 범죄정보1·2담당관실 명칭이 ‘내사(內査)실’로 바뀔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한 법조계 관계자는 “범죄정보1·2담당관실이 재편 작업에 돌입하면서 범죄 첩보 수집 기능은 물론 수사 역량이 약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적지 않았다”며 “본연의 임무인 내사를 강화하고 각종 적폐 청산을 겨냥한 검찰 수사에도 힘을 보탤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검찰총장 직속기구인 범죄정보기획실 산하 범죄정보1·2담당관실은 전국 검찰의 각종 정보를 수집·관리·분석해 보고하는 조직으로 총장의 ‘오른팔’로 꼽혀왔다. 기존에 1담당관실은 부정부패 정보, 경제사범, 언론, 정보통신을 포함한 각종 공개정보를, 2담당관실은 공안·선거·노동·대공·사회단체·종교 등 관련 정보를 파악해 관리해왔다. 하지만 문 총장 취임 직후 기존 수사관들을 이전 근무지 등으로 복귀시켰고 역할이나 활동 방식 등에 대한 구체적 방침도 새로 만드는 등 이른바 ‘리빌딩(조직 재편성)’ 작업을 하고 있다.

안현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