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정찬민 용인시장, 취임 후 3년간 투자유치 3조7,000억

경기연구원, 분석…경제적 파급효과 5조9,000억, 일자리창출 2만9,000개

정찬민(왼쪽) 용인시장이 용인시로 유치한 반도체 장비기업 서플러스글로벌을 찾아 기업 관계자로부터 설명을 듣고 있다. /사진제공=용인시청정찬민(왼쪽) 용인시장이 용인시로 유치한 반도체 장비기업 서플러스글로벌을 찾아 기업 관계자로부터 설명을 듣고 있다. /사진제공=용인시청




정찬민 용인시장이 취임 이후 3년간 기업유치와 산업단지 조성·규제개혁 등으로 모두 3조7,605억원의 투자유치를 이끈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따른 경기도 지역에 미친 경제적 파급효과는 5조9,381억원에 달하며, 이를 통한 일자리 창출은 2만9,629개에 달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용인시는 25일 경기도 정책연구기관인 경기연구원(김은경 선임연구위원)에 의뢰해 실시한 ‘용인시 민선 6기 규제개혁 및 투자 활성화 정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에서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번 분석은 정 시장이 취임한 지난 2014년 7월 1일부터 지난 5월 31일까지 민선 6기에서 이룬 투자유치 성과를 검증하기 위해 용인시의 의뢰로 지난 7~8월 2개월여에 걸쳐 진행됐다.

관련기사



분석에 따르면 용인시가 이 기간에 투자를 유치한 금액은 용인오토허브자동차서비스복합단지 등 13건의 기업유치로 2조3,614억원, 용인테크노밸리 등 23개 산업단지 조성으로 1조1,297억원, 각종 규제개혁으로 2,694억원에 달했다.

이에 따른 경기도 지역에 미친 경제적 파급효과(생산유발+부가가치유발)는 기업유치가 4조5,027억원으로 가장 컸다. 다음으로 산업단지 조성이 9,304억원, 규제개혁이 5,050억원에 이른다.

일자리 창출 효과는 기업유치로 2만2,002개, 산업단지 조성으로 4,838개, 규제개혁으로 2,789개 등 2만9,629개에 달할 것으로 예측됐다.

김 연구위원은 한국은행의 ‘지역산업연관표(시도단위 일정한 생산요소를 투입할 때 각 산업에 나타나는 산출량을 통계기법을 이용해 추정)’를 모델로 분석했다.

그는 이번 분석에서 중앙정부가 수도권이나 상수원보호구역 규제 등 갖가지 덩어리 규제 권한을 독점해 규제를 풀기 어려운 여건에서 용인시가 ‘지자체 차원에서 할 수 있는 불합리한 법령 및 자치법규 개정, 민원제도 개선 등 행태규제의 개선’으로 대규모 투자유치를 이룬 점을 높이 평가했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