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김영란법 1년이 가져온 변화…500대 기업 접대비 큰 폭으로 줄었다

4곳 중 3곳 접대비 줄어…유한양행 81.4%나 ↓

김영란 법 시행 1년을 맞은 가운데 지난해 상반기에 비해 올해 상반기 접대비가 173억원 줄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합뉴스김영란 법 시행 1년을 맞은 가운데 지난해 상반기에 비해 올해 상반기 접대비가 173억원 줄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합뉴스


부정청탁을 금지하는 법인 일명 ‘김영란법’이 시행 1년을 맞은 가운데 올해 상반기 국내 500대 기업의 접대비가 큰 폭으로 줄어든 것으로 확인됐다. 기업 4개 중 3개가 접대비를 줄였고 특히 유한양행을 비롯한 제약업계의 감소폭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27일 기업 경영성과 평가사이트 CEO스코어(박주근 대표)에 따르면 국내 매출액 기준 상위 500대 기업 가운데 접대비를 분리 공시한 139개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올해 상반기 접대비는 총 970억원으로 집계됐다. 부정청탁금지법 시행 전인 지난해 상반기(1,143억원)에 비해 15.1%(173억원)이 줄었다. 특히 같은 기간 이들 기업의 매출이 6.3%(13조3,656억원) 증가해 법 시행 효과가 상당한 것으로 평가됐다.

조사대상 기업 가운데 접대비를 줄인 곳은 전체의 73.4%인 102개로 집계됐다. 유한양행이 무려 81.4%나 줄였으며 엔씨소프트(74.0%)와 대웅제약(73.5%)도 70% 이상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림과 한신공영, LIG넥스원, 신세계인터내셔날, KTcs, 한양 등이 60% 이상 줄어들었고 금호산업과 롯데쇼핑, GS홈쇼핑, 대유에이텍, 네이버 등은 50% 이상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롯데쇼핑은 작년 상반기 접대비가 15억5,000만원에 달했으나 올 상반기에는 6억6,300만원까지 줄였다. 9억원 가까이 줄인 것이다.


법 시행 이후 오히려 접대비가 증가한 기업은 37개로 집계됐다. 증가폭은 미래에셋캐피털(94.6%)이 가장 컸으며 롯데케미칼(67.7%)과 서희건설(49.3%) 순이다.

관련기사



업종별로는 제약업종이 51.2%나 줄어들어 최대 감소 폭을 기록했으며 △조선·기계·설비(38.4%) △서비스(29.9%) △유통(25.1%) △자동차·부품(20.3%)이 뒤를 이었다. 접대비가 증가한 업종은 IT·전기·전자(11.7%)와 상사(11.0%), 여신금융(3.6%) 등 3개로 나타났다.

CEO스코어 관계자는 “접대비 내역은 의무 공시 사항이 아니어서 상당수 기업은 공시하지 않았다”며 “매출 10대 기업 가운데서도 기아차, 현대중공업, 현대모비스 등은 접대비를 공시했지만 삼성전자와 현대차, 한국전력, LG전자, 포스코, SK이노베이션, 삼성생명 등은 공시하지 않았다”고 전했다.

/김연주인턴기자 yeonju1853@sedaily.com

김연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