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韓인적자본 세계 27위…능력 최상위이지만 인적자원 활용 잘 못해

15~24세 문해력·산술력 세계 1위

25~54세 성별고용격차 85위…노동참여율 100위 밖

한국의 인적자원 활용 능력이 전 세계 130개국 가운데 27위를 기록했다. 문해력(1위), 고등교육 이수(2위)로 세계 최상위권을 기록했지만 노동참여율 낮고 성별 고용격차가 커 인력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7일 세계경제포럼(WEF)의 ‘2017 글로벌 인적자본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인적자본지수는 69.88점을 기록해 130개국 가운데 27위를 차지했다. 지난해 32위에서 27위로 다섯 계단 상승한 것이다.


WEF는 조사대상 국가의 그룹을 연령에 따라 0∼14세, 15∼24세, 25∼54세, 55∼64세, 65세 이상 등 다섯 개로 나누고 각각 학습·고용·계발·현황을 0에서 100으로 평가했다.

우리나라는 15∼24세의 문해 능력과 산술 능력이 100점을 기록해 130개국 가운데 1위를 기록했다. 15∼24세의 고등교육 등록률은 세계 2위 수준으로 집계돼 세계에서 가장 교육열이 높은 나라로 기록됐다.


하지만 인력의 수준이 높음에도 자원활용은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5∼24세의 노동참여율은 28.1점에 불과해 130개국 중 120위로 최하위권이었다. 25∼54세의 노동참여율도 101위였다.

관련기사



출산과 육아로 여성의 경력단절이 일어나는 현상을 반영하듯 남녀 고용 격차도 컸다. 15∼24세에는 관련 점수가 100이었지만 25∼54세에는 72.5점으로 뚝 떨어지면서 85위를 기록했다.

WEF는 한국과 일본은 지속적인 고용 성별 격차 탓에 전 연령층에서 노동참여율이 떨어진다는 점이 순위를 끌어내린다고 지적했다.

인력자본지수 전체 순위에서 1위는 노르웨이(77.12점)가 차지했다. 그 뒤를 이어 핀란드(77.07점), 스위스(76.48점) 등이 이어 북유럽과 서유럽의 선진국들이 높은 순위를 차지했다.

연유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