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수원시, 이달부터 '택시운송비용 전가금지 제도' 시행

수원시는 지난 1일부터 ‘택시운송비용 전가금지 제도’ 시행에 들어갔다고 9일 밝혔다.

‘운송비용 전가금지제’는 택시운행에 필요한 유류비·사고처리비·세차비·차량구매비를 택시기사에게 부담시키는 것을 금지하는 제도다.


택시 운송사업자는 택시 차량을 구매할 때 필요한 일체 비용과 배차·운행에 드는 유류비, 차량 내·외부 세차비, 교통사고 처리비 등을 택시기사에게 전가할 수 없게 된다.

운송사업자가 비용 전가금지 규정을 위반하면 지방자치단체는 택시운송사업 면허 취소·사업 정지·감차 등 행정처분을 내리거나 과태료를 부과할 수 있다.


수원시는 지난해부터 운송비용 전가금지제를 시행하고 있는 대전·인천광역시를 방문해 벤치마킹하고 택시업계 의견을 수렴해왔다.

관련기사



수원시는 이달부터 운송비용 전가 관련 상담·신고센터(031-228-3323)를 운영하고, 1년에 두 차례 정기적으로 지도점검을 하기로 했다.

이병규 수원시 대중교통과장은 “운송비용 전가 금지 제도가 시행되면 택시회사가 부담하는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면서 “하지만 택시 운수종사자가 회사에 내는 1일 운송수입금 인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이어 “택시 운수종사자 처우 개선이 제도 시행의 목적인 만큼 관련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해 노사가 공평하게 협상할 수 있도록 이끌겠다”고 말했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