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SKY' 의약대생 62%가 고소득층 자녀"

안민석 "주요 대학 53%는 고소득층 자녀"

저소득층 22% 불과…"교육 양극화 문제"

서울대·고려대·연세대 등 주요 대학 의·약대생 두 명 중 한 명은 고소득층 자녀라는 주장이 나왔다. 반면 저소득층 자녀들의 입학 비율은 점점 낮아지고 있어 기회 균등을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19일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안민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19일 한국장학재단에서 받은 ‘2015~2017년 8개 주요대학 의약계열 재학생 국가장학금 신청자 소득분위 현황’을 분석한 결과 의·약대생 53%가 고소득층 자녀로 보인다고 밝혔다.


분석 대상에 포함된 대학은 서울대, 부산대, 전남대, 고려대, 연세대, 성균관대, 한양대, 이화여대 등 8곳이다.

안 의원은 월 소득 982만원 이상인 소득분위 8~10분위 부모의 자녀와 등록금 부담이 별로 없어 국가장학금을 신청하지 않은 것으로 추정되는 미신청자를 합해 이같이 추정했다. 반면 기초생활수급자부터 소득 2분위까지 속하는 저소득층 학생은 평균 22%에 불과했다.


8개 대학의 고소득층 학생 비율은 최근 3년 간 52%에서 53%로 1%포인트 상승하는 데 그쳤다. 하지만 이른바 ‘스카이’(SKY)로 불리는 서울대·고려대·연세대의 경우 2015년 58%, 2016년 60%, 2017년 62%로 상대적으로 비율도 높고 뚜렷한 증가세를 보였다.

관련기사



안 의원은 서울대·고려대·연세대의 의·약대생 1,877명 중 1,168명이 고소득층 자녀라고 분석했다. 특히 월 소득 1,300만원 이상인 10분위 학생들이 전체의 38%(751명)를 차지할 정도로 고소득층 쏠림 현상이 더욱 심각하게 나타났다. 51명에 불과한 기초생활수급자 학생과 비교하면 무려 14배 가량 많았다.

안 의원은 “의·약대생 고소득층 쏠림 현상은 단순한 우연이 아니며 고소득→사교육→명문대 엘리트→고소득이라는 심각한 부의 대물림과 교육의 양극화 문제”라며 “더 많은 저소득층 학생들이 의사, 약사가 될 수 있도록 사회적 관심과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한편 문재인 정부는 저소득층과 지방고 졸업생이 의·약학 계열에 입학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하겠다는 구상을 국정과제로 발표한 바 있다.

진동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