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전년比 376.1%↑, 에쓰오일 높은 영업이익 증가율 '실적향상'

에쓰오일이 정제마진 상승 등의 영향으로 전년 같은 기간 대비 376.1%의 높은 영업이익 증가률을 보였다. 비정유 부문도 영업이익의 40%를 차지하며 실적 상승에 힘을 더했다.

에쓰오일은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이 5532억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 1162억원 대비 376.1%의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고 30일 공개했다.


매출은 5조2118억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 4조1379억원 대비 26% 늘었고, 당기순이익은 1718억원에서 3987억원으로 132.1% 늘었다.

정유 부문에선 석유제품에 대한 견조한 수요가 지속되는 가운데 허리케인 하비의 영향으로 미국 정유공장의 가동차질이 맞물리며 정제마진이 급등한 것으로 알려졌다. 에쓰오일은 우호적인 업황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정유공장을 최대 가동했고 3364억원의 분기 영업이익을 보였다.

석유화학부문의 주력제품인 파라자일렌(PX)은 인도 지역 신규 공장의 가동률 상승과 권역 내 PTA(고순도 테레프탈산) 공장의 정기보수 영향으로 제품과 원료 가격 차이가 소폭 떨어졌다. 에쓰오일은 2분기 정기보수를 마친 PX 공장을 최대 가동해 전분기 대비 24% 상승한 905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윤활기유 부문에선 윤활기유에 대한 시장의 견조한 수요를 바탕으로 1263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고, 특히 윤활기유 부문은 2분기 연속 30%가 넘는 높은 영업이익률을 이어갔다.

관련기사



에쓰오일 관계자는 “전 사업부문의 고른 성과 실현에 힘입어 작년 2분기 이후 가장 높은 영업이익을 올렸다”며 “특히 3분기 비정유부문의 매출액 비중은 21%에 불과하지만 고부가가치 제품의 생산과 판매를 극대화하는 노력에 힘입어 전체 영업이익의 40%를 견인했다”고 밝혓다.

4분기 정유 부문은 아시아 지역 내 신규 설비의 본격적인 가동과 동절기 기존 공장의 가동률 상승으로 인한 공급 증가가 있을 것으로 알려졌다.그러나 제품 재고가 낮은 상황에서 아시아 역내 수요의 지속적인 상승세로 양호한 정제마진이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석유화학 부문은 PX( 파라자일렌)이 역내 신규 시설의 공급증가로 인해 마진이 낮아질 가능성이 높지만, PTA(고순도 테레프탈산) 공장의 신규가동·재가동과 동절기 진입으로 인한 계절적 수요로 양호한 수준의 스프레드(제품과 원료 가격 차이)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윤활기유 부문에서는 계절적인 수요 둔화로 윤활기유 마진에 하방압력이 가해질 것으로 보인다.

장주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