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무궁화위성 5A호 발사 성공…스페이스X 타고 위성강국 꿈 솟다 

지상관제시스템 토종기술로 제작

중동까지 통신방송 서비스 확대

무궁화위성 5A호가 31일 새벽 미국 플로리다에서 발사되고 있다. /사진제공=KT무궁화위성 5A호가 31일 새벽 미국 플로리다에서 발사되고 있다. /사진제공=KT




선박 통신용 등으로 사용되는 무궁화위성 5A호가 미국 플로리다에서 31일 새벽 4시 34분(현지시각 30일 오후 3시 34분) 발사에 성공했다.


KT SAT이 발사한 이 위성은 프랑스 위성제작사인 탈레스 알레니아 스페이스(Thales Alenia Space)가 제작했고 미국 상업 우주발사업체인 스페이스 X (SpaceX)가 발사했다. 지상관제시스템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천리안 통신위성 개발 사업을 통해 확보한 기술을 바탕으로 제작했다. 무궁화위성 7호에 이은 두 번째 사례로 앞으로 지상관제시스템의 수입대체와 국내 위성기술의 수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설명했다.

관련기사



무궁화위성 5A호 재원


무궁화위성 5A호(궤도 동경 113도)는 2021년 임무가 완료되는 무궁화위성 5호를 지원하며 보다 넓은 해외지역에 통신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그동안 일본, 필리핀 등 해외 일부에만 서비스했으나 통신능력이 향상돼 중동 일부 지역까지 범위가 넓어진다. 11월 12일(한국시간)에 정지궤도로 진입하게 되며 동경 114.5도에서 약 3주간 탑재중계기 성능시험(IOT· In Orbit Test) 등을 거쳐 동경 113도로 이동한 뒤 내년부터 서비스에 돌입한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는 무궁화위성 5·6·7호와 천리안위성을 포함, 총 5기의 정지궤도 통신방송위성을 보유하게 됐다. 이 위성들은 적도 상공 고도 3만 5,786㎞ 궤도에 위치해 있으며 지구의 자전주기와 같아 단일 위성으로 24시간 통신방송 서비스가 가능하다. 김경우 과기정통부 주파수정책과장은 “중국, 인도네시아 등과 위성망을 조정했고 ITU(국제전기통신연합)에 자료를 제출했으며 주파수는 곧 지정하겠다”고 말했다. /고광본선임기자 kbgo@sedaily.com

고광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