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MB정부 국정원 공영방송 장악 의혹…당시 MBC경영진 줄소환

특정 출연자·제작진 교체 과정서

김재철 前사장 등 지시여부 조사

MB 정부 시절 국가정보원이 공영방송 장악을 위해 공작을 벌였다는 의혹을 수사하기 위해 검찰이 당시 MBC 경영진을 소환했다./ 연합뉴스MB 정부 시절 국가정보원이 공영방송 장악을 위해 공작을 벌였다는 의혹을 수사하기 위해 검찰이 당시 MBC 경영진을 소환했다./ 연합뉴스


검찰이 이명박 정부 시절 국가정보원이 공영방송 장악을 위해 공작을 벌였다는 의혹을 수사하기 위해 당시 MBC의 주요 경영진을 소환했다.

31일 오후 박찬호 서울중앙지검 국정원 수사팀 2차장검사는 백종문 부사장을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했다. 오후 1시 40분쯤 서울중앙지검에 나타난 백 부사장은 “검찰에서 성실히 답변하겠다”고 하며 조사실로 향했다. 백 부사장은 김재철 전 사장이 재임하던 2010∼2013년 MBC 편성국장·편성제작본부장 등을 맡았고 김 전 사장이 퇴임한 후에는 미래전략본부장을 지냈다. 지난해에는 백 부사장이 일부 기자와 PD를 ‘증거 없이 해고했다’는 녹취록이 공개되기도 했다.

이우용 전 MBC 라디오본부장도 오전 10시 53분쯤 중앙지검에 출석해 피의자 신분으로 조사를 받았다. 그는 ‘국정원 관계자를 만난 적이 있느냐’, ‘PD들 명단을 국정원에 제출했느냐’는 등의 질문에 일절 대답을 하지 않았다. 이 전 본부장은 2011년 2∼11월 라디오본부장을 맡았다. 이 시기 MBC에서는 김미화씨, 윤도현씨 등이 진행하던 라디오 프로그램에서 줄줄이 하차해 논란이 있었다.


최근 국정원 적폐청산 태스크포스(TF)의 조사 결과 김미화씨와 윤도현씨는 일명 ‘블랙리스트’에 포함된 연예인이었다. 적폐청산TF 조사에서는 당시 MBC 경영진의 결정에 국정원이 개입했을 개연성을 보여주는 정황이 나타났다.

관련기사



TF 조사에 따르면 원세훈 전 원장 시절 국정원은 방송사 간부와 프로그램 제작 일선 PD 등의 성향을 파악하고 정부 비판 성향이 있다고 판단되는 이들을 교체하는 등 구체적인 인사 개입 방향을 담은 다수의 문건을 생산한 것으로 밝혀졌다. 실제 MBC에서는 간판 시사 프로그램의 폐지, 기자·PD의 해고 등 사건이 발생했다. 2012년 파업 이후에는 참여 직원들이 기존 업무와 무관한 부서로 발령되며 인사권 남용 논란이 있었다.

검찰은 백 부사장과 이 전 본부장을 상대로 각종 프로그램을 폐지하거나 특정 출연자·제작진을 교체하는 과정에 국정원 관계자나 김재철 전 사장 등의 지시가 있었는지 등을 조사할 방침이다.

/김연주인턴기자 yeonju1853@sedaily.com

김연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