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김상곤 "고교학점제, 내년 100개 학교서 시범 운영"

김 부총리, “학생부 간소화 이르면 이달 말 개선안 발표”

김상곤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연합뉴스김상곤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연합뉴스


정부가 내년에 100개 학교에서 고교학점제를 시범적으로 실시한다.

김상곤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9일 동계올림픽 기념 계기수업을 위해 강원도 평창을 방문한 자리에서 “우선 일반고 30곳과 특성화고교 30곳을 연구학교로 지정하고, 선도학교 40곳을 포함해 모두 100개 학교에서 고교학점제를 실시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고교학점제는 학생들이 희망 진로에 따라 다양한 교과목을 선택해 이수한 뒤 누적학점이 일정 기준에 도달하면 졸업할 수 있게 하는 제도다.


교육부는 연구학교를 운영하면서 학점제 도입에 필요한 교육과정 개편과 법·제도 개선사항을 정리할 방침이다. 이후 학점제 안착을 위한 학사제도를 연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점제 도입 종합 추진계획을 수립한다. 교육부는 이달 20일께 이런 내용의 ‘고교학점제 추진 방향·연구학교 운영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김 부총리는 이와 함께 학교생활기록부(학생부) 간소화 필요성도 언급했다. 그는 “학생부 항목이 너무 다양하고 작성 기준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는다는 지적이 있어 정책연구를 통해 이를 개선하겠다”며 “이달 말이나 12월 초쯤 (개선안을) 발표할 것”이라고 전했다.

학생부에 대한 비판이 계속 제기되면서 김 부총리는 학생부 기재항목을 간소화하고 자기소개서·교사 추천서 등 학생부종합전형 요소를 줄이겠다는 뜻을 수차례 밝힌 바 있다. 현재 학생부는 교과 성적 외에도 동아리 활동과 수상경력 등 다양한 항목을 기재하게 돼 있는데 분량 등에 대한 기준이 없어 교사들은 업무 부담을 호소하고, 학생·학부모는 공정성 논란을 제기하고 있는 실정이다.

김 부총리는 학생 수 감소에 대비해 대학 정원을 줄이기 위한 ‘대학 구조개혁평가’ 명칭을 ‘대학 기본역량진단’으로 바꾸고, 다음 달 세부 기준 등을 발표하겠다고 말했다. /임우철 인턴기자 dncjf8450@sedaily.com

임우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