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일본서 고병원성 AI 검출…정부, 차단방역 강화조치

일본서 고병원성 AI 검출…정부, 차단방역 강화조치




일본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바이러스가 검출돼 방역에 비상이 걸렸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일본 야생조류 폐사체에서 9일 고병원성 AI(H5N6형)가 검출됐다는 정보를 입수하고 국내 AI 예찰 및 차단방역 강화조치를 취했다고 이날 밝혔다.

일본 고병원성 AI 바이러스는 시마네현 마츠에시에서 수거된 흑고니 폐사체에서 검출됐다.

H5N6형 고병원성 AI는 우리나라에서는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3월까지 343건 발생했으며, 닭에서 100% 폐사율을 보였다.

농식품부는 우리나라에도 고병원성 AI 유입 가능성이 커짐에 따라 환경부와 협력해 국내 야생조류에 대한 AI 예찰을 강화하기로 했다.


현재 야생조류 AI 검사는 11∼12월에 애초 계획했던 검사 건수보다 약 150%(3천924건)로 늘려 실시하기로 했다.

관련기사



또한 농식품부는 고병원성 AI 발생 예방을 위해 가금농가와 지방자치단체에 철저한 차단방역을 하도록 당부했다.

가금 사육 농가는 철새도래지 출입금지, 축사 내·외벽의 그물망 정비, 축사 출입 때 전용 의복·신발 착용, 발판 소독조 설치, 소독약 주기적 교체 등을 강화하고 다른 가금 사육 농가와 모임도 하지 않도록 했다.

아울러 지방자치단체는 철새도래지, 소하천과 주변 도로 등에 광역방제기를 동원해 주기적 소독을 강화하고 철새도래지의 입구에는 출입 자제 현수막 등을 설치해 AI 차단방역 홍보를 강화토록 했다.

농식품부는 올해 해외 고병원성 AI 발생이 증가하고 있다며 국민들은 해외여행 중 축산농가와 가축시장 방문을 자제하고 가축과 접촉하거나 축산물을 가져오지 않도록 주의해 달라고 덧붙였다.

해외 고병원성 AI 발생은 2014년 166건, 2015년 1천657건, 지난해 1천162건이었으며, 올해는 10월 기준 56개국에서 1천906건이 발생했다.

[사진=연합뉴스]

전종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