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文 “北 핵 동결 나서면 한미연합훈련 중단 협의할 수도”

■싱가포르 언론 인터뷰

“北 대화 의지땐 언제든 대화”

문재인 대통령은 9일 “북한이 핵과 미사일 도발을 중단하고 대화의 장으로 나온다면 1단계로 핵 동결을 위해서 다음 단계로는 북핵의 완전한 폐기를 위해 한국과 미국을 비롯한 국제사회가 상응한 조치를 협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싱가포르의 ‘채널뉴스아시아(CNA)’와의 인터뷰에서 “한미 연합훈련을 중단하는 대가로 북한이 핵을 포기하게 하자는 중국의 제안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라는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다만 “지금 북한의 핵과 미사일 도발이 갈수록 고도화되고 있는 이 시점에서 우리가 한미 연합훈련 중단을 말할 수는 없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북한이 우선 무조건으로 도발을 끊고 대화에 참여해야 하며 이후 핵 동결과 폐기를 위한 반대급부를 협의하는 과정에서 한미 연합군사훈련 중단을 논의할 수 있다는 의미로 들린다.


문 대통령은 북한과의 대화 의지를 재차 확인했다. 그는 “북한이 먼저 핵과 미사일 도발을 중단하고 대화하려는 의지를 가져야만 대화가 가능할 것”이라며 “그런 여건이 조성되면 언제든지, 어디서든 북한과 대화를 시작할 용의가 있다”고 말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대북 강경발언에 대해서는 “때로는 강력한 발언을 하지만 북한을 압박하기 위한 목적이고 실제로 군사행동을 실행할 의도로 하는 것은 아니라고 확신한다”며 “어떤 면에서 한미가 적절한 역할분담을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고 평가했다. 미국이 압박, 한국이 대화 신호를 보내고 있다는 것이다.

관련기사



전시작전통제권 환수에 대해서는 “언젠가 우리가 역량을 갖춘다면 전작권을 행사하는 것은 자주 국가로서 당연한 일”이라며 “미국이 동의하고 바라는 바이기도 하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한국이 전작권을 환수해도 양국의 연합방위라는 근본은 달라지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한미일 군사동맹 추진 반대 입장도 분명히 했다. 문 대통령은 “북한 도발에 대응해 한미일 공조가 대단히 중요해졌다”면서도 “3국 간 공조는 북한 도발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고 한미일 군사동맹이 추진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설명했다. 그는 “일본이 북핵을 이유로 군사대국화의 길을 간다면 우리 아세안과의 관계에서 바람직하지 않다”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중국과의 관계를 발전시키겠다고 구상을 설명했다. 그는 “앞으로 이어질 한중 정상회담 등을 통해 한중 관계를 과거 수준으로 회복시키는 것은 말할 것도 없고 더욱더 발전시켜 나갈 것”이라며 “이 과정에서 미중 관계도 갈등이 아니라 공동번영해 나가는 관계로 한국이 매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인터뷰는 지난 3일 오후에 청와대에서 진행됐으며 이날 녹화방송됐다.

이태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