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스타 TV·방송

[SE★인터뷰②] 이서원 “블러썸 엔터에서 전화…사기인 줄 알고 끊었다”

배우 이서원은 ‘병원선’ 김재걸과는 다르다. 극 중 츤데레 이미지는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서글 서글하고 말도 많다. 그러면서 ‘병원선’ 김재걸처럼 진중하다. 가볍게 대화를 이어나가면서도 그 안에 담긴 연기에 대한 고민의 흔적은 깊다.

1997년생 이서원은 2015년 JTBC ‘송곳’으로 데뷔했다. 2016년에는 KBS2 ‘함부로 애틋하게’에서 수지(노을 역)의 동생 노직으로 출연해 얼굴을 알렸다. 이후 KBS2 ‘뮤직뱅크’에서 라붐 솔빈과 풋풋한 호흡을 맞춘 그는 지난 3월 tvN ‘그녀는 거짓말을 너무 사랑해’에서 이현우, 레드벨벳 조이와 함께 첫 주연을 맡았다.




배우 이서원이 8일 오후 서울 강남구 한 카페에서 서경스타와의 인터뷰에 앞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사진=조은정기자배우 이서원이 8일 오후 서울 강남구 한 카페에서 서경스타와의 인터뷰에 앞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사진=조은정기자


다음은 공중파 주연이었다. 하지원, 강민혁이 출연하는 MBC ‘병원선’에 당당히 이름을 올린 것. 19살 차이가 나는 하지원과 삼각 멜로까지 선보이며 성장세를 증명했다. 동시에 JTBC 웹드라마 ‘막판로맨스’에서 1인 2역을 맡는 등 도전을 이어가고 있다. 영화 ‘대장 김창수’(감독 이원태)에서는 조진웅, 송승헌 등 선배 배우들과 시대극 연기도 펼쳤다.

최근 서울 강남구 논현동의 한 카페에서 이서원과 만나 ‘병원선’(극본 윤선주, 연출 박재범) 종영 인터뷰를 나눴다. 올해에만 4개의 작품을 선보인만큼 지칠 법도한데, 그에게는 에너지가 넘쳤다. “열심히 하겠다”는 각오로 똘똘 뭉친 배우였다.

-함께 ‘병원선’을 촬영한 하지원과 강민혁에게 조언을 받은 게 있나.

“좋은 말씀을 아끼지 않으셨는데, 일단 저희 현장의 주 메리트는 의논하는 것에 있었다. 한 명도 빠짐없이 불편한 것, 어색한 것 없이 의견을 제기하고 수렴했다. 그렇게 모아진 것이 한 신, 한 신이 됐다. 좋은 말들이 많이 나와 서로의 역할을 도와줬다. 대사도 여러 번 맞추고 편하게 했다. 화기애애했다.”

-하지원과 연기를 하면서 깨달은 것은 없나. 선배에 대한 존경을 느끼거나.

“웃음을 절대 잃지 않으신다. 엄청 덥고 피곤한 날이어도, 밤을 새도, 후반부에 가서는 패딩을 입을 정도로 추워도 웃음을 잃지 않는다. ‘어떻게 저러지?’라는 생각이 들 정도였다. 저래서 존경을 받는구나 싶었다. 정경순 선배가 장난식으로 ‘지원이는 해맑게 잘 웃어서 안 늙는다’고 말씀하실 정도였다. 인간적인 모습조차 배울 점이 있는 분이었다. 저런 분이 되고 시다고 생각했다. 은재로서 ‘안돼요’ 하시면서도 컷하면 다시 웃는다. 도끼를 들고도 웃고 계신다. 정말 대단하다.”

-앞으로 만나보고 싶은 배우가 있나. 혹은 도전해 보고 싶은 장르나 역할이 있다면.

“몇 개 안되지만 1년 동안 4가지의 작품을 하면서 든 생각이 있다. 지금까지 많은 선배님들을 만나봤다. 빠른 시간 안에 만나면서 느낀 게 있다. 한분 한분이 다 다른데 너스레든 지나가는 말이든 툭툭 하시는 말씀들이 다 주옥같더라. 다음 작품에도 비슷한 선배님들이 또 계신다. 모든 선배님들을 다 만나 뵙고 싶다. 누군가 한분을 만나 뵙고 싶다기보다, 주인공이든 명품 조연이든, 사람들이 잘 몰라보시는 선배님이든 다 연륜이 쌓이고 습득한 세월과 경험이 정말 다르다고 생각했다. 장르는 저에게 같이 하자고 손만 내밀어주신다면 감사하다.”

-롤모델도 딱히 없나.


“없다. 지칭할 선배님들이 너무 많다. 한국에도 많고 외국에도 많다. 다 말하려면 4시간은 필요하다. 그러다 나는 누구를 롤모델로 삼지라는 생각을 했다. 선배님들 혹은 외국 유명 배우분들을 찾아봤다. 인터뷰나 기사를 봤는데 거의 모든 분들이 비슷하게 말하시는 게 있더라. ‘본질로 돌아가라’, ‘기본과 기초를 중시 여겨라’라는데서 일맥상통했다. 그래서 저는 이걸 롤모델로 삼자고 생각했다. 모델이라기보다는 마인드다. 기초, 초심, 기본이 롤마인드다.”

관련기사



배우 이서원이 8일 오후 서울 강남구 한 카페에서 서경스타와의 인터뷰에 앞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사진=조은정기자배우 이서원이 8일 오후 서울 강남구 한 카페에서 서경스타와의 인터뷰에 앞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사진=조은정기자


-초심으로 돌아가서, 연기 입문 계기가 어떻게 되나.

“초등학교 2학년 때 너무 많은 것을 하고 싶었다. 죽기전에 이거 다 못해보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배우를 하면 여러 가지 직업을 다 할 수 있지 않나. 이사를 많이 다니다보니 비슷한 사람 같은데 왜 다르지라는 생각이 들었다. 사람과 관계라는 게 궁금해지기 시작했다. 그래서 인간 심리 다큐를 보게 됐고, 그런 것이 뭉쳐져서 배우를 해야겠다는 꿈이 자연스레 생겼다.”

-본격적으로 연기에 도전한 때가 언제인가.

“고등학교 때 연기학원에 다니면서 보조출연도 해보고 단역도 해봤다. 드라마 곳곳에 제 뒷통수가 있을 거다. 보조출연을 하다 보니 스태프들은 얼마나 힘들까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광고 쪽에서 짧게나마 스태프로 일했다. 연출부 막내였다. 명동 한복판에서 오후 3시에 인파도 막아보면서 스태프들의 고충을 알게 됐다. 이것을 잊지 말자고 되새길 때 덜컥 하게 된 게 ‘송곳’이었다.”

-그러다 현 소속사(블러썸 엔터테인먼트)와 계약을 하게 됐는데.

“‘송곳’ 방영 전 연락이 왔다. 처음에는 사기인 줄 알았다. ‘나한테? 왜?’라는 생각이 들어서 전화를 끊었다. 그랬다가 진짜인가 싶어서 다시 전화를 드렸다. 한 번 보자고 하셔서 회사에 가서 찾아 뵀다가 계약까지 하게 됐다.”

-다작을 한데다 ‘병원선’은 성적도 괜찮았다. 인지도 변화를 실감하나.

“실감하는 편이다. SNS 팔로워도 30만 명이 넘었다. 와우! 그런 것으로 소소하게 실감하고 있다. 팔로잉 눌러주시고 사진 태그도 해주시면서 관심을 표명해주시니까 감사의 표시로 제가 할 수 있는 게 뭔가 생각해봤다. 그래서 열심히 하트를 눌러드리고 있다. 남발하고 있지만 헤프지는 않다. 진심이다.”

-바빴던 한해를 돌아보자. 본인에게 어떤 말을 해주고 싶다.

“어떻게 보면 쉬지 않았다. 제가 좋아하는 말 중에 ‘열심히 한 건 잘한 게 아니다. 잘할 수 있었다. 잘하는 건 최고가 아니다. 최고로 할 수 있었다’라는 게 있다. ‘잘한다’는 것은 남들이 봤을 때 잘했어야 잘한 거라고 생각한다. 제가 스스로 할 수 있는 것은 열심히 하라고 말하고 열심히 하는 것뿐이다. 1년을 돌아보니 열심히 했다. 내년에는 더 열심히 하겠다.”

/서경스타 양지연기자 sestar@sedaily.com

양지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