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SKT의 지능형 응급호출 이용자 수 10만명 돌파

사물인터넷 등 활용해 응급상황 발생시 대처 가능

SK텔레콤은 교육부 등의 정부기관과 서울시 성동구를 비롯한 5개 지자체와 협력해 지능형 응급호출 및 안전망 서비스를 시행중이라고 15일 밝혔다. 서울시 성동구의 관제 센터에서 한 시민이 응급호출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 /사진제공=SK텔레콤SK텔레콤은 교육부 등의 정부기관과 서울시 성동구를 비롯한 5개 지자체와 협력해 지능형 응급호출 및 안전망 서비스를 시행중이라고 15일 밝혔다. 서울시 성동구의 관제 센터에서 한 시민이 응급호출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 /사진제공=SK텔레콤




SK텔레콤(017670)은 치매노인과 유소년 등을 보호하는 지능형 응급호출 시스템 및 안전망 이용 고객 수가 이 달 기준으로 10만 명을 넘어섰다고 15일 밝혔다.

SK텔레콤의 안전망 구축 시스템은 지난 2012년 ‘스마트 T 지킴이’라는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시작해 현재는 사물인터넷(IoT) 망을 활용하는 단계로 발전했다. 해당 시스템은 안전 단말 푸시 버튼을 누를 경우 지자체 관제센터로 주변 CCTV 영상 정보가 전송되고 사용자와 보호자가 경찰이나 소방관과 통화를 할 수도 있다.


SK텔레콤은 지난 2014년 교육부와 학생들 등·하교 알림, 위치확인, 응급호출 등 기능을 제공하는 ‘U-안심알리미’를 선보였으며 지난해에는 격오지 근무 교사가 응급상황시 알림을 보낼 수 있는 ‘교사 안심서비스’를 시작했다. 이외에도 대전시, 오산시, 안양시, 부산 강서구와 지능형 응급호출 서비스와 연계한 장애인, 치매노인, 유소년 보호 시스템을 구축하고 서울 성동구에는 치매노인 실종 방지 서비스를 제공중이다.

관련기사



SK텔레콤은 향후 지자체 CCTV와 경찰청을 연결하는 안심 서비스 적용 지역을 확대할 계획이다. 올해 내로 수원, 시흥, 인천, 김해 등에 해당 서비스를 적용할 예정이며 내년 상반기에는 서울 시내 25개 구로 서비스 가능 지역이 늘어난다.또 검찰청에 범죄 피해자 신변보호를 위한 스마트워치를 보급키로 하고 단말 최종 검증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김성한 SK텔레콤 IoT솔루션사업본부장은 “노인인구와 1인 여성 미혼가구, 외자녀 비율의 증가로 사회 안전 인프라 관리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며 “지능형 응급호출 플랫폼은 문제 발생 시 골든타임을 확보할 수 있는 서비스”라고 밝혔다.

양철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