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지진, 미봉책 아닌 체계적인 대책 필요하다

지난해 9·12 경주 대지진에 이어 발생한 포항 강진은 더 이상 한반도가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점을 새삼 확인시켜줬다. 포항 지진이 그동안 존재가 알려지지 않았던 새로운 단층을 따라 발생한 것이라는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분석도 그런 근거 중 하나다. 일본과는 지질구조가 다르다는 이유로 한반도가 지진에서 비교적 안전하다는 주장은 점점 설 땅을 잃게 됐다. 실제로 1978년 기상청 관측 이래 국내에서 발생한 지진 가운데 규모 5.0을 넘은 지진은 10차례나 된다. 올 들어 규모 2.0 이상의 지진도 135차례 일어나기도 했다. 한반도가 지진 위협에 고스란히 노출돼 있지만 지진에 대비한 건물의 내진설계와 대피시설은 물론 연구조사에 이르기까지 종합적인 대응역량을 보면 여전히 지진을 남의 나라 이야기쯤으로 치부하는 실정이다.


당장 시급한 일은 피해복구와 지진발생 지역 시설물에 대한 안전진단이지만 일시적 땜질 처방이 아닌 근본적 대응 시스템을 차근차근 구축해야 한다. 시설물의 내진보강은 더 이상 미뤄서는 안 될 과제다. 정부가 내진설계 적용 대상을 확대하고 있지만 지진 방비가 전혀 돼 있지 않은 오래된 시설물이 문제다. 교량과 철도 같은 공공시설물의 내진율은 43.7%에 그친다. 공공시설물은 재정을 투입해 점진적으로 내진보강을 하고 있지만 속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내진율이 가장 낮아 25%에 불과한 학교시설에 우선 배정해야 함은 두말할 나위도 없다.

관련기사



사후수습보다 중요한 것은 사전대응 기능이다. 그러려면 체계적인 연구조사가 뒷받침돼야 함에도 변변한 국책지진연구센터조차 없는 것은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지질자원연구원에 지진센터가 있기는 하지만 부설연구소이다 보니 연구인력과 시설이 초라하기 짝이 없다. 정부 차원의 전국 활성단층 지도가 2041년에야 완성된다니 한숨이 절로 나온다. 땅속에서 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조차 모르고 지진대응 체계를 만든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단기간에 지진대응 체계를 일본처럼 업그레이드할 수는 없겠지만 장단기 과제로 구분해 종합대책을 차근차근 마련해야 할 때가 됐다. 문재인 정부가 안전과 생명을 지키는 ‘안심사회’ 구축을 주요 국정과제로 삼았다면 임기응변식 땜질 처방을 또다시 되풀이해서는 안 될 것이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