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정책

"쌀 때 사자" 시중은행 달러예금 한달새 5조원 증가

지난 17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이 장중 달러당 1,100원선 아래로 내려가자 달러를 매입하려는 수요가 몰렸다. 명동 KEB하나은행 본점 딜링룸 전광판에 실시간 환율, 코스피 정보가 표시돼 있다. /연합뉴스지난 17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이 장중 달러당 1,100원선 아래로 내려가자 달러를 매입하려는 수요가 몰렸다. 명동 KEB하나은행 본점 딜링룸 전광판에 실시간 환율, 코스피 정보가 표시돼 있다. /연합뉴스




최근 원·달러 환율이 연저점을 기록한 가운데 달러 매입 수요가 늘면서 주요 시중 은행의 달러 예금 잔액이 한 달 만에 12% 증가했다.


18일 각 은행에 따르면 KB국민·신한·우리·KEB하나·농협 등 주요 은행 5곳의 달러 예금 잔액은 16일 기준 총 424억달러를 기록했다. 우리 돈으로 환산하면 47조원이다.

이는 한 달 전인 10월 16일 잔액(377억달러)보다 12.4%(47억달러) 늘어난 것이다.


은행별로는 달러 예금이 가장 많은 하나은행의 잔액 규모가 한달전인 146억600만 달러에서 158억1,300만 달러로 8% 이상 늘었다.

관련기사



5대 시중은행의 달러 예금 잔액은 16일 단 하루만 놓고 보더라도 8,200만 달러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날은 원·달러 환율이 1년 2개월 만에 처음으로 장중 1,100원대 아래로 무너져내린 날이다.

심리적 마지노선이었던 달러당 1,100원선이 깨지자 상대적으로 달러 가치가 낮을 때 예금해 두려는 움직임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달러 예금은 원화를 달러로 환전해 적립했다가 출금하거나 만기가 됐을 때 원화로 받는 금융상품이다. 달러 예금을 개설해두면 은행 애플리케이션(앱)으로 원하는 시점에 달러를 사거나 팔 수 있다. 달러 가치가 오르면 손쉽게 환차익을 얻을 수 있는 데다가 따로 세금도 붙지 않아 자산가들은 물론 직장인들 사이에서도 인기를 끌고 있다.

노희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