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日 고이케, 희망의 당 대표 50일 '영욕사'

선거 초반 '아베 맞수' 영예 안았지만

배제의 정치, 대연정, 무책임 논란에

창당 50일만에 대표직에서 내려와

희망의 당은 '카제다노미' 싸늘한 시선

‘50일’. 고이케 유리코 도쿄도지사가 희망의 당 창설(9월 25일)부터 대표직 사퇴(11월 14일)까지 걸린 시간이다. 일본 언론들은 고이케 지사가 50일 동안 영욕의 삶을 살았다고 평가한다. 중의원 선거 운동 초반, 희망의 당을 정당 지지율 2위 자리 끌어올리며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이끄는 자민당을 위협했던 고이케 지사는 ‘배제의 정치’·자민당과의 ‘대연정’·‘무책임 정치’ 논란에 시달리며 제1야당 자리를 내주는 참패를 당했다. 희망의 당은 그때 그때 선거를 앞두고 급조되는 ‘카제다노미 정당’으로 낙인찍혀 존폐의 기로를 걱정해야 할 상황이다.

고이케 유리코 일본 도쿄도지사가 지난 9월 27일 도쿄에서 희망의 당 창당 기자회견을 열어 질문에 답하고 있다.  /도쿄=AFP연합뉴스고이케 유리코 일본 도쿄도지사가 지난 9월 27일 도쿄에서 희망의 당 창당 기자회견을 열어 질문에 답하고 있다. /도쿄=AFP연합뉴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17일 고이케 지사의 ‘희망의 당 대표 50일’을 분석해 보도했다. 선거전 초반까지만 해도 민진당·일본유신회 등 야권을 결집시키며 아베 총리와 자민당을 불안하게 만들었던 희망의 당은 선거 막판으로 갈수록 지지율이 떨어지더니 급기야 중의원 선거 결과 총 50석을 차지하는 데 그쳤다. 선거 목표였던 과반(233석)은 물론이고 선거전 의석(57석)에도 미치지 못한 참패다.




고이케 유리코 일본 도쿄도지사가 중의원 선거일인 지난달 22일 프랑스 파리에서 총선 패배를 인정하고 고개를 숙이고 있다. 고이케 지사는 선거일에 일본을 지키지 않아 논란이 일었다. /파리=AFP연합뉴스고이케 유리코 일본 도쿄도지사가 중의원 선거일인 지난달 22일 프랑스 파리에서 총선 패배를 인정하고 고개를 숙이고 있다. 고이케 지사는 선거일에 일본을 지키지 않아 논란이 일었다. /파리=AFP연합뉴스


선거가 끝나자마자 희망의 당에서는 ‘고이케 대표 사퇴’ 요구가 봇물 터지듯 제기됐다. 희망의 당 중의원 총회에 당 대표 자격으로 참석한 고이케 지사는 ‘물러나라’는 강도 높은 주장에 내내 헛웃음만 내뱉은 것으로 알려졌다. 더구나 사퇴 요구를 ‘의원들의 중언부언’ 수준으로 취급하면서 또 다른 파장이 일기도 했다.

아베 신조(뒷줄 왼쪽 두 번째) 일본 총리가 도쿄 중의원 본회의장에서 지난 9월 28일 중의원 해산 조서가 낭독된 후 만세를 부르고 있는 의원들 사이에서 생각에 잠겨 있다. 당시만해도 희망의 당은 민진당·일본 유신회와 선거에서 협동하며 세를 불렸다. /도쿄=교도연합뉴스아베 신조(뒷줄 왼쪽 두 번째) 일본 총리가 도쿄 중의원 본회의장에서 지난 9월 28일 중의원 해산 조서가 낭독된 후 만세를 부르고 있는 의원들 사이에서 생각에 잠겨 있다. 당시만해도 희망의 당은 민진당·일본 유신회와 선거에서 협동하며 세를 불렸다. /도쿄=교도연합뉴스


마이니치신문은 고이케 지사의 돌풍이 찻잔 속 태풍에 그친 원인을 ‘배제의 정치’에서 찾았다. 제1야당이었던 민진당이 ‘아베 1강 종식’을 위해 이념적 성향이 다른 희망의 당에 합류 의사를 타진했지만 고이케 지사는 “우리 정책에 부합하는지에 대해 다양한 관점에서 살펴보고 싶다”며 “(희망의 당과 정책 태도가 일치하지 않으면) 배제하겠다”고 말한 바 있다. 우파 색채의 희석과 ‘노조와 관계있는 정치인이 희망의 당에 들어온다면 선거 연대는 없다’는 일본유신회의 반발을 염두에 둔 것이었다.


‘아베 타도’를 위해 제1야당의 지위까지 내던진 민진당 의원들은 강하게 반발했다. 더구나 민진당 내에서는 ‘제거 목록’으로 불리는 살생부가 돌았다. 문서는 진위 불명이었지만 당시 민진당이 느끼는 당혹감을 드러내는 사건으로 통한다. 결국 ‘배제의 정치’는 민진당 리버럴계를 중심으로 한 입헌민주당의 창당으로 이어졌고, 입헌민주당은 희망의 당을 밀어내고 제1야당의 자리를 차지한다.

관련기사





자민당과 이념·정책적 차이를 부각하지 못한 점도 패착으로 꼽힌다. 아베 총리가 추진하는 자위대 헌법 명기 등의 개헌에 대해 희망의 당은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더구나 희망의 당이 야당으로 선거전을 치르고 있음에도 고이케 지사는 8일 토론회에서 “(자민당과의) 대연정에 대해서는 선거 결과를 보고 판단하겠다”고 말했다. 논란이 불거지자 고이케 지사는 “대연정 가능성은 없다”며 진화에 나섰지만 ‘대연정’은 선거 종반까지 여야를 막론하고 희망의 당과 자민당 간 차이가 없음을 부각하는 주된 논거로 사용됐다.

지난 10월 8일 일본 도쿄 우치사이와이초 일본기자클럽에서 같은 달 22일 중의원 선거를 앞두고 열린 토론회에 참석한 일본 주요 정당 대표들이 손을 맞잡고 있다. 왼쪽부터 야마구치 나쓰오 공명당 대표, 자민당 총재인 아베 신조 일본 총리, 희망의 당 대표인 고이케 유리코 도쿄도지사, 시이 가즈오 공산당 위원장, 에다노 유키오 입헌민주당 대표. /도쿄=교도연합뉴스지난 10월 8일 일본 도쿄 우치사이와이초 일본기자클럽에서 같은 달 22일 중의원 선거를 앞두고 열린 토론회에 참석한 일본 주요 정당 대표들이 손을 맞잡고 있다. 왼쪽부터 야마구치 나쓰오 공명당 대표, 자민당 총재인 아베 신조 일본 총리, 희망의 당 대표인 고이케 유리코 도쿄도지사, 시이 가즈오 공산당 위원장, 에다노 유키오 입헌민주당 대표. /도쿄=교도연합뉴스


총리 후보로 나서지 않은 고이케 지사가 무책임했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중의원 총선거는 곧 총리를 뽑는 선거이기도 하다. 하지만 고이케 지사는 도쿄도지사직을 유지하면서 중의원 출마를 포기했다. 국회의원이 아니면 총리가 될 수 없다. ‘배수의 진’을 치고 달려들어도 쉽지 않은 상황에서 이번 선거에서 져도 돌아갈 자리를 남겨둔 것으로 비치면서 책임감이 결여됐다는 의심을 받게 됐다. 물론 ‘도정에 전념하겠다’는 약속을 지키기 위한 것이었지만 고이케 지사의 총선 불출마는 ‘도대체 아베의 대항마는 누구인가?’는 의문을 낳았다. 결국 희망의 당에서 총리는 나오지 않았다.

고이케 지사의 대표직 사퇴는 당장 한 사람의 운명이 아닌 당 전체의 명운을 가를 일이 됐다. 희망의 당은 존폐의 기로에 섰다. 중의원 선거에서 당선된 대부분의 의원들은 희망의 당이 자체 공천한 사람들이 아니라 민진당 출신 인사다. 하세가와 유키히로 도쿄신문 논설위원은 희망의 당에 합류한 민진당 의원들을 중심으로 희망의 당과의 관계를 끊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현지 언론들의 평가는 더욱 싸늘하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고이케 지사가 대표로 있던 50일 동안 희망의 당에서 부각된 것은 ‘카제다노미 정당’의 한계”라고 지적했다. 선거를 앞두고 만들어진 정당이 얼마나 가겠느냐는 비아냥이다. 결국 희망의 당에는 희망은 없었으며 “고이케 극장은 끝났다”는 평가만 나오고 있다.

변재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