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브리핑+백브리핑] 英, 이란에 미납 무기대금 4.5억 파운드 41년만에 상환

영국이 41년 만에 이란에 진 빚을 상환하기로 돌연 결정해 정확한 의중을 둘러싸고 논란이 일고 있다.

19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텔레그래프 등에 따르면 하미드 바이디네자드 영국 주재 이란 대사는 최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인 텔레그램에 “영국 정부가 며칠 내로 이란 중앙은행에 대규모 부채를 돌려줄 예정”이라며 “영국이 무기 거래 계약을 깬 책임으로 이란에 응당 줘야 할 빚을 갚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영국 정부가 40여년 만에 이란에 4억5,000만파운드(6,526억5,800만원)의 빚을 갚을 것이라는 일각의 관측이 사실임을 공개적으로 인정한 것이다.


지난 1976년 당시 이란 팔레비 왕정은 영국의 전차 1,500대를 구매하기로 계약했으나 1979년 이란 이슬람혁명이 발생하면서 총 계약 규모 중 185대만 이란으로 인도됐다. 이란은 그동안 영국에 미인도분에 대한 대금을 환불하라고 요구해왔으며 2002년 영국 법원에 이 돈이 공탁됐지만 이란으로 송금되지는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英 느닷없이 빚 갚은 까닭은

자선단체 소속 영국인 랫클리프

정권 전복 혐의 징역 5년형 받아


석방 전제 정치적 거래 나선 듯


관련기사



영국의 부채 상환이 논란을 부른 것은 이행 시점 때문이다. 수십 년간 이란의 요구를 묵살해왔던 영국이 갑자기 입장을 바꾼 이유가 자국민 석방을 전제로 한 정치적 거래라는 해석이 일고 있기 때문이다.

자선단체 톰슨로이터재단 소속 영국인 나자닌 자가리 랫클리프는 지난해 4월 두 살짜리 딸과 방문 일정을 마치고 이란을 떠나려다 이란혁명수비대에 체포됐다. 그는 이란 정권 전복, 안보 위협의 혐의로 구속 기소돼 올해 1월 징역 5년형을 받았다. 최근 보리스 존슨 영국 외무장관이 “이란에서 언론인 교육을 간단히 했다”고 말하면서 자가리 랫클리프는 더 위험한 상황에 처했다. 이란에서 허가 없이 언론 활동을 하는 것은 간첩죄로 처벌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자가리 랫클리프의 추가 혐의가 인정되면 그의 형량은 늘어날 수 있다.

이란 핵협상이 타결된 뒤 지난해 1월에도 미국과 이란 사이에 ‘빚-수감자 교환’ 의혹이 제기됐었다. 당시 미국 정부는 이란에 이자 등 17억달러(1조8,692억원)를 돌려주면서 수감 중이던 미국인 5명과 미국에 억류된 이란인 7명을 맞교환하기로 합의했다.

김창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