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安 대립각에 고민 깊은 민주당…예산안 처리 빨간불

安 중도 통합 행보에 민주당과 '심리적 거리' 멀어져

국민의당 공조 없이는 예산 처리 힘들어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권욱기자안철수 국민의당 대표/권욱기자


통합 문제를 두고 국민의당 내홍 사태가 심상치 않게 돌아가면서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호남 중진 의원들의 거센 반발에도 불구하고 안철수 대표가 이른바 중도통합 행보를 가속화 하면서 민주당과의 심리적 거리가 멀어지는 분위기여서 예산·입법 국회에서 국민의당의 협조를 받기가 더 어려워질 것이라는 현실적 판단에 따른 것이다. 당장 내년도 예산안이 법정 시한(12월 2일) 내에 처리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는 말이 민주당 일각에서 흘러나온다.

소수 여당(121명)으로 예산안을 본회의에서 통과시키려면 국민의당(40명)과의 공조가 절대적이지만 문재인 정부와 첨예한 대립각을 세우고 있는 안 대표의 협조를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나아가 일각에서는 안 대표가 예산국회를 ‘캐스팅 보터’로서의 존재감을 부각하기 위한 기회로 활용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나아가 아직은 구체적인 움직임이 없지만 국민의당 내홍 사태가 자칫 분당 수순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존재한다. 인위적 정계개편을 하지 않는다는 것이 민주당의 입장이지만, 정국 상황에 따라서 불가피하게 정계개편의 소용돌이에 휘말릴 수 있다는 점에서다.

관련기사



특히 여당 내에서는 ‘국민의당 12월 말 위기설’이 적지 않게 나돌고 있다. 이는 안 대표 진영과 호남 중심의 이른바 ‘평화개혁연대’로 대표되는 비안(비안철수)계가 이미 서로 돌아올 수 없는 강을 건넌 형국인데다 내년 6·13 지방선거를 준비하려면 그때까지는 세력 재편의 윤곽이 잡혀야 한다는 시나리오에 따른 것이다.

만약 국민의당에서 중도통합에 반대해온 호남 의원들이 이탈하게 될 경우 민주당으로서는 한때 한솥밥 식구였던 이들을 받아들일지에 대한 선택 문제에 직면할 가능성이 크다. 이와 관련해 당내에서는 일단 외곽 그룹으로 있다가 추후에 합치는 ‘단계적 결합론’이나 당내 거부감이 적은 인사들부터 들어오는 ‘선별적 입당론’ 등의 시나리오가 아이디어 수준으로 거론되고 있다. 다만 자유한국당 중심의 야권 재편 과정에서 원내 1당 지위가 위협받을 경우 민주당이 이들을 바로 받아들일 가능성도 있다는 관측도 일부 있다.

하정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