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서울시 행정에 삼성SDS 블록체인 기술 활용된다

서울시 정보화전략계획 수립 사업 수주

국내 최초 공공분야 블록체인 사업 수행

홍원표 삼성SDS 대표가 지난 6월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열린 ‘머니 20/20 유럽’ 행사에 기조 강연자로 초청받아 삼성SDS 블록체인 기술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사진제공=삼성SDS홍원표 삼성SDS 대표가 지난 6월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열린 ‘머니 20/20 유럽’ 행사에 기조 강연자로 초청받아 삼성SDS 블록체인 기술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사진제공=삼성SDS


서울시 행정업무에 삼성SDS 블록체인 기술이 활용된다. 삼성SDS는 금융과 유통, 제조에 이어 국내 기업 중 처음으로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해 공공 사업 수행에 나선다.

삼성SDS는 26일 서울시가 블록체인 기술을 행정 업무에 접목하기 위해 발주한 ‘서울시 블록체인 기반 시정혁신을 위한 정보화전략계획(ISP) 수립’ 사업을 수주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삼성SDS는 앞으로 5달간 서울시 행정업무 중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해 성과를 얻을 수 있는 분야를 발굴하고, 해당 분야에 블록체인 적용 모델과 실제 이행 계획 등을 수립할 예정이다.

서울시는 청년수당 수급자 선정과 장안평 중고자동차 매매 등 투명한 개인정보가 무엇보다 중요한 분야에 삼성SDS의 블록체인 기술을 우선 적용한 후 삼성SDS가 수립하는 계획에 따라 오는 2022년까지 복지와 안전, 교통 등 전체 시정 업무를 대상으로 블록체인 적용이 가능한 영역들을 추가로 검토해 적용해 행정 편의성과 투명성 강화에 나선다.


이번 사업은 정부, 공공기관에서 최초로 블록체인 도입을 위한 로드맵 수립이라는 상징성 때문에 국내 IT 기업뿐만 아니라 시민의 실생활과 밀접한 금융, 유통, 제조 등 많은 기업들로부터 높은 관심을 받아왔다.

관련기사



삼성SDS는 지난 3일 은행연합회가 공인인증서 기반 체계를 대체하기 위해 발주한 ‘은행권 공동 블록체인 인증 사업’ 수주에 성공한 데 이어 이번 사업까지 수주에 성공하며 은행에 이어 공공 분야로까지 블록체인 기술 적용 영역을 넓힐 수 있게 됐다.

삼성SDS는 앞서 자사의 블록체인 플랫폼 넥스레저를 올해 초 삼성카드에 처음으로 상용화한 데 이어 지난달 현대상선, 남성해운, SM상선의 수출물량을 대상으로 블록체인을 적용한 시험 운항을 성공적으로 완료한 바 있다. 또 제조기업인 삼성SDI의 전자계약시스템에 블록체인을 적용하는 등 금융과 유통, 제조 등 다양한 산업 분야로 블록체인 적용 영역을 넓히고 있는 상황이다.

홍원표 삼성SDS 대표는 “삼성SDS는 자체 보유한 블록체인 기술과 컨설팅 역량을 통해 시정업무 투명성과 공정성, 시민 편의성을 강화해 서울시가 세계 일류 도시로 도약하는 데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삼성SDS는 지난 6월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열린 유럽 최대 핀테크 행사인 ‘머니 20/20 유럽’ 행사에서 홍 대표가 기조 연설자로 나서 보험청구, 지불자동화, 디지털 물류와 사물인터넷(IoT) 기술과 접목한 전자결제 등 블록체인의 확산 모델을 제시하는 등 글로벌시장 공략에도 힘을 쏟고 있다.

양사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