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글로벌 인사이드-막 오르는 ‘IS 2.0’]무슬림마저 집단 학살 타깃으로...더 잔혹해진 IS

시나이반도 모스크 테러

305명 사망·128명 부상

IS, 칼리프국 영토 상실 후

야만적 극단주의로 세 과시

25일(현지시간) 이집트 시나이반도 북부 비르 알아베드 지역 모스크 주변에 시커멓게 불탄 채 세워진 차량이 전날 발생한 테러의 참혹함을 보여준다. 수니파 무장단체 ‘이슬람국가(IS)’의 소행으로 추정되는 전날의 폭탄·총격테러는 400여명의 사상자를 내며 이집트 현대사에서 최악의 피해로 기록됐다.      /비르 알아베드=AFP연합뉴스25일(현지시간) 이집트 시나이반도 북부 비르 알아베드 지역 모스크 주변에 시커멓게 불탄 채 세워진 차량이 전날 발생한 테러의 참혹함을 보여준다. 수니파 무장단체 ‘이슬람국가(IS)’의 소행으로 추정되는 전날의 폭탄·총격테러는 400여명의 사상자를 내며 이집트 현대사에서 최악의 피해로 기록됐다. /비르 알아베드=AFP연합뉴스




24일(현지시간) 이집트 시나이반도 북부 비르 알아베드 지역에서 발생한 테러 피해자들이 모스크를 빠져나가고 있다. /비르 알아베드=AP연합뉴스24일(현지시간) 이집트 시나이반도 북부 비르 알아베드 지역에서 발생한 테러 피해자들이 모스크를 빠져나가고 있다. /비르 알아베드=AP연합뉴스


“가장 흉포한 이슬람국가(IS)가 나타났다.”

이달 초 시리아와 이라크에서 마지막 도시거점을 빼앗기며 동력을 상실한 것으로 여겨졌던 수니파 무장조직 IS가 불과 2주 만에 이집트 현대사에 최악으로 기록될 테러를 자행하며 건재를 과시했다. ‘칼리프국’이라는 영토적 구심점을 상실한 IS가 존재감을 과시하기 위해 더욱 잔혹한 모습으로 항전을 벌일 것이라던 ‘IS 2.0’ 공포가 현실화하고 있다는 평가다.


25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전날 이집트 시나이반도 모스크(이슬람사원)에서 발생한 폭탄·총격테러로 어린이 27명을 포함해 305명이 숨지고 128명이 다쳤다.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다섯 대로 모스크에 도착한 테러범 25~30명은 모스크의 12개 문에 자리를 잡은 뒤 “알라후 아크바르(신은 위대하다)”라고 외치며 무차별 학살을 벌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들은 위장된 검은색 제복과 복면을 착용하고 있었으며 20여분 동안 모스크에서 무방비 상태로 기도하던 무슬림들을 향해 폭탄을 터뜨리고 총격을 가했다. 이집트 검찰은 “이집트군이 테러범들이 타고 있던 차량을 폭격해 범인들을 궤멸시켰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아직 이번 테러의 배후임을 자처한 세력은 없지만 이집트 당국은 물론 외신들도 배후에 IS가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모스크를 공격한 테러범들은 IS 깃발을 들고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WP도 시나이반도 북부가 IS의 주요 활동지역 중 하나인 만큼 IS의 소행임이 의심된다고 보도했다. 시나이반도는 2013년 무함마드 무르시 전 이집트 대통령 퇴진 이후 이슬람 무장세력이 대거 유입되면서 중동 내 지하드(이슬람 성전)의 근거지가 된 곳이다. 아프리카 대륙과 서아시아를 잇는 전략적 요충지지만 IS에 충성을 맹세한 무장세력이 수차례 테러를 단행하면서 ‘새로운 화약고’로 급부상하고 있는 지역이다. 지난 9월에는 시나이반도 북부 엘아리시로부터 서쪽으로 약 30㎞ 떨어진 도로에서 경찰 차량이 폭탄·총기 공격을 받아 경찰관 18명이 사망했으며 7월에도 군 검문소에서 차량을 이용한 자살폭탄 공격으로 이집트 군인 20여명이 숨지기도 했다.

외신들은 이번 이집트 모스크 테러가 ‘IS 2.0’의 모습을 드러내는 사례라고 경고했다. IS가 이라크와 시리아 일대에 구축했던 칼리프국이라는 영토는 사라졌지만 잔재세력이 최대한 잔혹하고 야만적인 공격으로 자신들이 여전히 위협적인 존재라는 점을 경쟁적으로 과시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이번 모스크 테러가 칼리프국 해체 이후의 리더십을 노린 IS 지부 간 권력투쟁의 신호탄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이슬람 신비주의 종파인 수피 신도가 주로 찾는 모스크를 공격해 무슬림을 도륙한 것도 다양성을 인정하지 않는 잔혹한 극단주의를 나타내려는 포석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샤디 하미드 브루킹스연구소 연구원은 “IS는 이라크와 시리아에서 힘을 잃었지만 여전히 강력함이 있다는 점을 과시하고 싶어한다”며 “더 잔인하고 야만적인 테러로 이를 증명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테러 직후 압둘팟타흐 시시 이집트 대통령이 “극단적 테러리스트를 용서하지 않을 것”이라며 강력한 보복을 다짐했지만 이들을 뿌리째 소탕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려울 것이라고 우려했다. 익명을 요구한 미 연방 테러담당관은 “IS는 군사적으로만 패배한 것”이라며 “각 지역의 테러는 계속될 것이며 이들을 소탕하기는 더욱 어려워질 것”이라고 말했다.

박홍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