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단거리 운행 적은 택시 콜 안줘" 카카오택시 '승차거부와의 전쟁'

단거리 운행 많이 한 기사들엔

내달부터 장거리 콜 우선 노출

택시 호출 애플리케이션(앱)인 카카오택시(현 카카오T)가 단거리를 많이 운행한 기사에게 장거리 콜을 많이 배정하는 인센티브를 도입한다. 단거리 승차 거부를 많이 한 기사에게는 일정 시간 아예 콜을 주지 않는 페널티도 적용한다.

26일 정보기술(IT) 업계에 따르면 카카오와 서울시는 최근 이같은 내용을 담은 ‘카카오택시 승차거부 근절안’에 합의했다.


이번 방안은 승객 목적지의 거리를 따져 장거리 운행만 하는 ‘골라 태우기’를 막기 위한 조치다. 서울시와 카카오는 카카오택시 기사들이 1~5㎞ 단거리 콜은 무시하고 고수익 장거리 손님만 태워 간접적 승차거부를 일삼는다는 민원이 급증하자 지난달부터 대책안을 논의해왔다.

관련기사



우선 다음달부터 단거리 운행을 많이 한 기사에게 요금이 높은 장거리 콜을 우선 노출한다. 이에 따라 카카오택시 기사들은 수익성이 높은 장거리 콜을 받기 위해서는 단거리 손님부터 많이 태워야 한다. 카카오는 단거리 운행을 많이 한 기사에게 상품권 지급 등 보상도 할 계획이다. 반면 콜 거부가 잦은 택시 운전자는 내년부터는 일정 시간 동안 아예 콜을 주지 않는 벌칙도 적용할 계획이다. 이런 기사들은 손님들은 골라가며 태우는 경향이 있다는 판단에서다.

앞서 카카오T는 택시 승객이 급증하는 연말을 앞두고 이달부터 택시 기사용 앱에 노출되는 콜 수를 기존의 30∼40% 수준으로 줄였다. 콜이 많으면 그만큼 목적지에 따라 승객을 골라 태울 여지가 커지는 만큼 애초 택할 수 있는 콜의 범위를 좁혀 놓겠다는 취지다.

당초 서울시는 카카오택시 앱에서 승객이 목적지를 입력하는 기능을 아예 없애달라고 요구했지만 ‘승차거부 억제 효과는 크게 없고 앱 기능만 저하시킨다’는 반론에 밀려 합의안에 반영하지 않았다. 글로벌 차량공유업체 우버는 기사가 승객의 목적지를 알지 못하고 콜을 받아 승차거부를 원천차단하고 있다.

양사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