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한국 3분기 성장률 OECD 2위, 최상위권 성장률 보여 '2010년 1분기 이후 최초'

우리나라 경제 성장률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최상위권의 성장률을 보였다. 이 같은 고성장세를 이어가기 위해선 수출뿐 아니라 내수 활성화와 신성장동력 확보가 뒷받침 돼야한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27일 OECD에 따르면 회원국 성장률(전분기 대비) 평균은 1분기 0.5%에서 2분기 0.8%로 확대됐다가 3분기 0.6%로 다시 하락했다. 성장폭 자체만 보면 2분기보다 3분기 소폭 줄었다.

회원별로는 3분기 성장률이 집계된 22개 회원국 중 우리나라(1.4%)는 라트비아(1.5%)에 이어 2위를 보였다. 우리나라가 OECD에서 분기 성장률 2위를 기록한 것은 2010년 1분기(2.2%) 이후 최초의 일. 우리나라는 지난해 OECD에 가입한 라트비아를 제외하면 기존 회원국 가운데 1위에 부상했다. 우리나라와 라트비아와 함께 1%대 성장률을 기록한 나라는 핀란드 폴란드(1.1%), 이스라엘(1.0%) 등으로 알려졌다.


분기성장률이 0.5%이상을 기록한 나라는 독일 ·스페인 ·헝가리 ·슬로바키아(0.8%), 미국 ·노르웨이(0.7%), 오스트리아(0.6%), 프랑스 ·이탈리아 ·체코 ·포르투갈(0.5%) 등으로 확인됐다. 영국 ·네덜란드(0.4%), 벨기에 ·일본(0.3%) 등은 성장률이 0% 초반대를 보였다. 멕시코(-0.2%), 덴마크(-0.3%) 등은 전 분기 대비 마이너스 성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3분기 우리 경제가 OCED 회원국 가운데 높은 성장률을 기록한 이유는 수출이 효자노릇을 해왔다. 3분기 수출은 전기대비 6.1% 늘면서 2011년 1분기(6.4%) 이후 6년 반 만에 최고치를 보였다.

추가경정예산(추경) 집행으로 정부소비 증가율이 2012년 1분기(2.8%) 이후 최고 수준인 2.3%를 기록했고 건설투자 증가율도 2분기 0.3%에서 3분기 1.5%로 상승했다. 올해 잠재성장률을 뛰어넘는 3% 성장에 복귀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이 나오는 가운데 이러한 성장세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실장은 경제 모범국으로 복귀하려면 수출뿐 아니라 내수 살리기가 동반돼야 한다고 밝혔다.

장주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