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국정원 댓글 수사 은폐' 김병찬 "수사 기밀 유출 없다"

경찰의 ‘2012년 국가정보원 댓글 수사 은폐’ 의혹에 연루된 김병찬 서울용산경찰서장이 28일 오전 서초구 서울중앙지검에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돼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경찰의 ‘2012년 국가정보원 댓글 수사 은폐’ 의혹에 연루된 김병찬 서울용산경찰서장이 28일 오전 서초구 서울중앙지검에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돼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경찰의 ‘2012년 국가정보원 댓글 수사 축소·은폐’ 의혹에 연루된 김병찬 현 서울용산경찰서장이 검찰에 출석했다.

김 서장은 28일 오전 9시 50분께 피의자 신분으로 서울중앙지검에 출석했다. 김 서장은 앞서 변호인 선임 등을 이유로 검찰 출석 요구에 한 차례 불응했다.

검찰에 따르면 김 서장은 당시 수서경찰서로부터 받은 국정원 여직원의 노트북을 분석, 박근혜 대선후보를 지지하고 문재인 대선후보를 비방하는 조직적 여론 조작 정황을 포착하고도 제대로 수사하지 않은 의혹을 받고 있다.


김 서장은 경찰 댓글 수사가 진행되던 2012년 12월 서울지방경찰청 수사2계장을 지냈다. 수사2계는 공직선거법 위반 등 공안 관련 사건을 담당하는 부서다.

관련기사



또 국정원 여직원의 오피스텔에서 대치 상황이 벌어진 2012년 12월 11일 당시 국정원의 서울경찰청 연락관과 40여 차례 연락을 주고받는 등 수사 대상인 국정원 측에 수사 관련 상황을 부적절하게 제공한 의혹도 있다.

이날 김 서장은 조사실에 들어가기에 앞서 다소 경직된 모습으로 “수사상 기밀을 유출한 사실이 없다”며 “(국정원 직원과 전화 통화를 주고받은 건 있지만) 업무상 통화였다”고 말했다.

법조계에서는 이번 김 서장 소환 조사를 시작으로 당시 서울청 수사 라인의 ‘윗선’이던 장병덕 전 서울청 사이버범죄수사대장, 이병하 전 수사과장, 이광석 전 수서경찰서장, 최현락 전 서울청 수사부장, 김용판 전 청장으로도 수사가 이어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김민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