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채권

S&P, "한국 신용도, 북한 리스크 선반영…문제 없다"

글로벌 신용평가사 S&P가 최근 간헐적으로 발생하는 북한의 핵도발에 대해 “한국 대외 신용도는 큰 영향을 받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킴엥탄(KimEng Tan) S&P글로벌 신용평가의 아태지역 정부신용평가 팀장(상무)은 보고서 ‘북한의 도발: 사라지지 않는 위협(The North Korean Threat: It‘s Going To Be A Long, Long Time)’을 통해 “전일 새벽 북한의 미사일 발사로 투자자들의 심기가 다시 한 번 불편하게 됐지만 이번 도발 행위는 놀랄 일이 아니다”며 이 같이 밝혔다. 킴엥탄 팀장은 “북한이 자국 안보와 경제에 상당한 외부 위협이 존재한다고 생각하는 한 주기적으로 지정학적 긴장을 고조시킬 가능성이 높지만 무력충돌을 야기할 수준에 이르지는 않을 것”이라며 “최근 한반도 정세 불안을 촉발하는 도발에도 불구하고 한국과 주변국 신용등급을 부정적으로 조정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킴엥탄 팀장은 “북한은 간헐적 도발을 이어가겠지만 북한 관련 안보 리스크는 이미 한국의 ‘AA’ 신용등급에 반영돼 있다”며 “최소 향후 몇년 간 현실화할 가능성은 낮지만 통일로 인해 발생할 잠재적 우발 채무도 반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북한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방한 당시에도 돌발행동을 하지 않는 등 이전과 달라진 모습을 보이는 데도 주목했다. 킴엥탄 팀장은 “북한은 무기 개발 능력을 내세우면서도 미국과의 전쟁이 정권 교체로 이어진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며 “장거리 핵미사일 개발에 성공해도 실제로 사용할 가능성은 낮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다만 북한의 이러한 전략은 역내 지정학적 안정성을 크게 훼손할 수 있다. 또한 이로 인한 미국과 중국의 갈등이 커져 글로벌 경제와 교역이 영향을 받을 가능성도 높다. 킴엥탄 팀장은 “미국 본토를 향한 핵무기 타격 위협이 잦아지면서 실제 전쟁이 발발할 가능성은 (전보다) 커졌다”며 “군사적 충돌이 발생하면 미국을 비롯한 여러 나라가 전쟁에 휘말릴 수 있어 한국과 관련국 국가신용등급은 부정적으로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또한 “북한과 광범위한 군사 충돌 가능성이 가능성이 현재 반영한 수준보다 크게 높아졌다고 판단될 경우에만 신용등급을 조정할 예정”이라며 “한국과 미국, 주변국이 참전하거나 경제적으로 부정적 영향을 받으면 참여 국가들의 신용등급 또는 등급 전망이 조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서지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